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군 독자개발 미사일 영상보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국군이 독자로 개발한 500㎞ 이상의 탄도미사일, '철매-II' 개량형 지대공유도무기, 2.75인치 유도로켓 발사영상이 공개됐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3일 충남 태안의 안흥시험장에서 최근 개발에 성공한 사거리 500㎞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처음으로 시험발사했다. 이 탄도미사일이 올해 말부터 육군미사일사령부 예하 기지에 실전배치하게 되면 중부지역에서 북한 함경북도 라진ㆍ회령까지의 거리가 500㎞인 점을 볼때 한반도 전 지역을 사거리 내로 확보할 수 있다.


이날 시험비행은 박근혜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발사됐으며 800㎞의 탄도미사일은 개발이 상당 수준 진척됐으며 최근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미사일의 비행자세와 제어 등이 성공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이 사거리 500㎞ 이상 탄도미사일을 개발한 데 이어 800㎞를 개발 중인 것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이 점점 고도화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북한이 실전 배치한 300~550㎞의 스커드미사일과 1000~1300㎞의 노동미사일은 단거리 탄도미사일이지만 원형공산오차(CEP, 목표물 타격 오차 반경)가 150~200m에 달해 정확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군은 이미 사거리 1000㎞(현무-3)의 순항미사일을 개발해 실전 배치해 놓고 있다. 여기에다 800㎞의 탄도미사일까지 개발 완료하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상당부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또 이날 안흥시험장에서는 '철매-II' 개량형 지대공유도무기도 첫 시험발사했다. '철매-Ⅱ'의 기본형은 중고도(10~15㎞)를 비행하는 적의 항공기를 요격하는 지대공유도무기이다.


그러나 군은 이 기본형을 국내 독자기술로 개량해 15㎞ 이상 고도를 비행하는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데 이용한다. 하층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KAMD의 핵심 전력으로, 일명 '한국형 패트리엇'으로 불린다. ADD는 500㎞이상의 탄도미사일과 철매-II를 비롯한 북한의 공기부양정을 타격하는 2.75인치 유도로켓 발사 장면을 담은 동영상도 공개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