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폭발하는 中 마스크팩 시장…온라인 판매채널 무섭게 성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2초

폭발하는 中 마스크팩 시장…온라인 판매채널 무섭게 성장 (자료-칸타월드패널)
AD


시트 마스크팩이 전체 마스크팩 시장 성장 주도
혁신적인 신제품 중요…마스크팩 유통채널 오프라인도 강화돼야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최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중국 마스크팩시장은 시트 마스크팩이 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내 성공을 위해서는 한국 시트 마스크와 같은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도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18일 글로벌 시장조사회사 칸타월드패널은 중국 마스크팩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세 가지'를 제시했다.

칸타월드패널은 중국 여성들의 스킨케어 단계가 늘어나고 세분화됨에 따라 사용하는 제품 개수가 증가하고 있고 프리미엄되면서 뷰티케어에 대한 니즈와 평균 소득수준 증가와 함께 구매력이 뒷받침돼 새로운 기능, 효과를 가진 프리미엄 제품군이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스크팩은 중국 스킨케어 중에서도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품목중의 하나인 것이다.


중국 시트 마스크팩이 전체 마스크팩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에서는 시트 마스크팩이 전체 마스크팩 시장의 60%에 달하는 금액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전체 마스크팩 시장 내 시트 마스크팩의 금액비중은 39%에 불과하다. 씻어내는 워시오프(Wash-off), 바르고 자는 슬리핑(Sleeping) 타입 등 시트가 아닌 그 외 마스크팩의 비중이 61%에 달해 중국과는 다르다고 밝혔다.


폭발하는 中 마스크팩 시장…온라인 판매채널 무섭게 성장 (자료-칸타월드패널)


중국 여성들의 주요한 스킨케어 제품으로 자리잡은 시트 마스크팩은 지금도 다른 마스크팩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더 주목할 점은 전체 시트 마스크팩 구매자 중 45%가 시트 마스크팩을 1년간 단 한번만 구매했다는 점이다. 이는 시트 마스크팩이 더 빈번한 구매를 유도해 성장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큼을 보여준다는 것이 칸타월드패널의 진단이다.


또 중국 내 성공 위해서는 한국 시트 마스크와 같은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도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한국의 경우, 시트 마스크팩의 프리미엄화가 마스크 시트(종이)의 프리미엄화와 마스크 시트 속에 들어 있는 스킨케어 에센스 원료의 프리미엄화 두 가지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


마스크 시트(종이)는 좀 더 얼굴 곡선에 따라 밀착이 잘 돼 에센스 흡수를 최대화 하는 쪽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도전과제였다. 초기에 피부에 닿는 것이기에 보다 순하다는 점을 강조해 '오가닉 순면시트' 등을 내놓았던 것에서 눈코 부위와 입 부위 시트를 별도로 만든 '듀얼 시트', 얼굴 굴곡에 맞춰 부드럽게 감싸는 형태의 '4D 시트'와 '하이드로겔 시트', 최근에는 극세사 콘셉트 시트까지 다양하게 발달해왔다.


아울러 마스크팩 유통채널은 온라인은 필수적인 상황에서 현대식 오프라인 매장도 개척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 내 전체 마스크팩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채널은 단연 온라인이다. 한국 등 해외에 나가서 직접 사오는 해외쇼핑도 크게 늘고 있지만, 온라인(18%)은 그 규모가 동네 화장품전문점(25%) 다음 두 번째로 큰 마스크팩 구매 채널로 성장했다.


폭발하는 中 마스크팩 시장…온라인 판매채널 무섭게 성장 (자료-칸타월드패널)


중국 시트 마스크팩 시장 성장의 94%가 온라인 채널에서 온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은 놓쳐서는 안 되는 시장인 것이다. 중국 내 오프라인 채널 또한 추가적으로 개척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한국의 톱3 채널이 온라인몰(22%), 원브랜드숍(18%), 백화점(13%)로 모두 현대식 채널인데 반해, 중국의 경우 가장 큰 채널이 여전히 동네 화장품전문점(25%)으로 체인화되지 않은 소형가게이고, 그 뒤를 온라인몰(18%)과 대형마트(17%)가 잇고 있다. 한국과 달리 중국 내 원브랜드숍은 아직까지 미미하다.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 현대식 오프라인 매장 기반의 유통채널 확대도 절대 도외시 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이화 칸타월드패널 수석부장은 "중국 내 뷰티시장의 확대는 한류 영향도 큰 만큼 얼핏 한국과 비슷해 보이는 면이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면밀히 분석해보면 소비자 니즈에 차이점이 매우 크다"고 꼬집었다.


강 수석부장은 이어 "중국 소비자 니즈를 세밀히 파악해 완전히 중국 현지화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라고 짚었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