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죄' 확정 강기훈 "진정한 용기는 잘못의 고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검찰과 법원에 '사과' 요구…건강 악화로 지방에서 요양, 마지막 소회 밝혀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이 사건을 되새기며 아픈 기억을 떠올리는 것을 몸이 감당하기 어렵기에 앞으로도 직접 제 말씀을 드리는 것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강기훈씨는 18일 ‘유서대필’ 의혹에 대해 대법원에서 무죄를 확정 받은 것과 관련해 변호인을 통해 견해를 밝혔다. 그는 1991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간부 김기설씨 유서를 대필해줬다는 혐의로 징역 3년의 실형을 받아 만기 출소했던 인물이다.

하지만 대법원이 2015년 5월14일 무죄 확정판결을 내리면서 강씨는 24년만에 ‘유서대필’을 둘러싼 누명에서 벗어나게 됐다. 그는 대법원 선고 당일 현장에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간암’에 걸려 투병 중이다. 몸 상태가 좋지 않은 것도 원인이지만, 24년간 그를 짓눌렀던 ‘악몽의 그림자’를 되새겨야 한다는 점도 고통이었다.


'무죄' 확정 강기훈 "진정한 용기는 잘못의 고백" 대법원
AD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한 채 말을 아꼈던 그는 어쩌면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를 자신의 소회를 밝혔다.


그는 “‘유서는 김기설 본인이 쓴 것이고 강기훈이 쓴 것이 아니다’, 이 단순한 것을 확인받는데 무려 24년이 걸렸다. 당연한 판결을 받기 위해서 너무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면서 “지난 5월14일로서 저에 대한 사법적 판단은 끝났다. 이제 역사적 판단과 책임이 필요한 때가 됐다”고 말했다.


특히 강씨는 “항소심에서 진술했듯이 ‘진정한 용기는 잘못을 고백하는 것이다’. 당시 저를 수사했던 검사들과 검찰 조직은 제가 유서를 쓰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진실을 왜곡했다. 지금이라도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씨는 법원을 향해서도 “법원은 1991년, 1992년은 물론이고 재심 후에도 2009년 검찰의 재항고 사건을 3년이나 방치했으며 이번 대법원 판결에서도 과거의 잘못에 대해 어떤 언급도 하지 않았다. 법원도 한 마디 사과라도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강씨는 “피해자는 저 하나면 족하다. 저를 끝으로 다시는 이런 피해자가 없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라도 책임을 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마땅하다. 스스로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 그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