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일반 중소기업에도 확대 적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그동안 벤처기업만 대상으로 이뤄졌던 코스닥시장 기술특례 상장이 일반 중소기업까지 확대되는 등 코스닥시장 기술평가제도가 전면 개편된다.


한국거래소는 유망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원활하게 코스닥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기술특례 상장제도의 전문평가 운영기준 등을 개정해 이달 27일부터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개정으로 그동안 벤처기업만 대상으로 행해졌던 기술특례 상장 대상 범위가 중소기업기본법에 의한 일반 중소기업까지 확대된다. 또한 전문 기술 평가기관이 기존 22개에서 기술보증기금, 나이스평가정보, 한국기업데이터 등 3개 기술신용평가기관(TCB)으로 전환된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 개편을 통해 평가기관간 편차가 해소되고 내부통제, 사후관리, 전문인력 확보 등 측면에서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와함께 자율적 평가신청 시스템도 도입된다. 지금까지는 거래소가 주관사의 신청을 받아 평가기관을 지정했지만 앞으로는 주관사가 직접 평가기관을 정해 기술평가를 받는다.


기술평가에 대한 부담 역시 완화된다. 기술평가기관 선정부터 결과 통보까지 걸리는 기간을 기존 약 9주에서 4주로 단축하고 평가 대상 기업이 부담하는 평가 수수료는 건당 15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3분1로 줄여 상장비용 부담을 낮추기로 했다. 기술평가 항목은 한층 더 객관화, 구체화해 기존에는 없던 경영진에 대한 평가 항목이 신설된다.


한편 기술특례 상장제도는 기술력이 뛰어난 유망 벤처기업이 기술평가를 활용해 코스닥시장에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지난 2005년 도입된 제도다. 기업규모와 자본상태 등 상장에 필요한 외형 요건에 대한 기준을 면제 또는 완화해 성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상장 적격성을 검토하는 제도로 벤처기업들의 상장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제도도입 이후 이 제도를 통해 상장한 기업은 총 15개사에 불과해 그동안 제도 보완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