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담배 꼼짝마"…국가 흡연폐해연구소 세워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정부가 직접 실험을 통해 담배의 성분을 분석하고 흡연의 위해성을 증명한다. 그동안 담배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담배를 분석, 비공개 자료가 있었지만 정부가 직접 나서 담배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르면 오는 8월 질병관리본부 산하에 '국가 흡연폐해연구소(가칭)'가 설치된다.

연구소는 국내에 유통되는 담배의 성분과 첨가물, 배출물(연기)에 대해 분석하는 업무를 진행한다. 각 담배에 니코틴과 타르, 암모니아, 흡습성물질 등의 성분이 얼마만큼 함유됐는지를 비롯해 멘솔이나 당류 등 중독성을 강화하는 첨가 물질이 포함됐는지, 담배 연기에 어떤 성분이 검출되는지 등을 분석한다.


또 간접흡연의 피해도 살펴본다. 각 담배의 연기가 사람의 몸과 주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혈액과 소변, 모발 등 인체 시료에 담배연기를 노출해 어느 정도 위해성이 발생하는지 측정하고 먼지 같은 환경 시료를 활용해 담배연기로 의한 환경 유해물질의 노출 수준도 검사한다.

실험동물과 동물 세포를 활용해 담배 연기가 암이나 심혈관질환, 감염성 질환, 성장발달장애, 중독성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실험할 계획이다.


연구소에서 나온 실험 결과는 정부가 담뱃값 인상이나 금연구역 확대, 금연치료지원 등 금연정책을 수행하는 데 과학적 근거로 활용된다. 실험 결과에 따라서는 담배회사를 상대로 진행 중인 소송 등에서도 증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연구소 설립은 국제보건기구(WHO)의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가입국으로서의 의무를 이행하는 것이다. 협약에 따라 한국은 담배의 성분을 규제하고 공개할 의무가 있지만 이를 이행하기 위한 정책 인프라는 부족했었다.


미국의 경우 국가기관인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담배의 성분을 분석하고 흡연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실험과 분석을 직접 진행하고 있다. 복지부는 국가 흡연폐해연구소를 통해 CDC의 담배 연구소와 협력하는 한편 WHO의 담배 연구소 네트워크에도 참여해 연구 성과를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흡연이 해롭다고 알려져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실증적인 정보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흡연의 폐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이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