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융보안원 설립 '교착상태'…"핀테크 보안 시급한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13일까지 이직 신청…적극적인 중재 필요하다는 지적도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금융보안 전담기구인 금융보안원 설립 작업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 통합되는 3개 기관 출신이라는 이유로 초대 원장 선임에 반발해 이직을 철회한 직원들을 설득하는 일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직원들을 계속 설득하지 못할 경우 마땅한 대안도 없는 상황이다. 최근 핀테크(금융+IT)가 금융권 미래 전략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등 금융보안 컨트롤타워의 역할이 시급하다는 점에서 설득만 기다릴 게 아니라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중재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전산보안전담기구 설립추진위원회 사무국은 이날까지 금융결제원과 코스콤 직원들을 대상으로 다시 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금융결제원과 코스콤의 이직 대상 직원들은 김영린 금융보안연구원 원장이 초대원장 최종 후보로 선정된 것에 반발해 이직 신청을 철회한 바 있다. 금융보안원이 금융보안연구원ㆍ금융결제원ㆍ코스콤 등에 흩어져 있던 금융전산보안 기능을 한 곳에 모아 설립되는 만큼 화학적 결합을 위해서 3개 기관에 몸 담았던 인물은 원장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문제는 이 직원들을 설득하지 못할 경우 마땅한 대안이 없어 금융보안원 설립이 계속 지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설립 사무국 관계자는 "이번 주까지 이직을 확정해달라는 공문을 여러 차례 보냈지만 신청을 끝내 안하면 다시 기간을 연장하고 계속 설득 작업을 할 수밖에 없다"며 "금융결제원과 코스콤의 경영진이 직원들과 개별 면담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원들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면 금융보안원을 언제 설립할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다는 얘기다. 금융보안원은 당초 1월에 회원사들이 참여하는 사원총회를 열고 2월 2일 공식 출범한다는 계획이었지만 현재로서는 전체적인 일정이 불투명한 상태다.


하지만 설득 작업은 녹록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원장이 직원들을 설득하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지만 3개 기관 출신은 원장 후보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에 가로막혀 진척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보안 업계 관계자는 "3개 기관 출신은 안 된다는 룰은 어디에도 없었는데 신뢰 문제를 거론하며 이 주장만을 고수하면 당사자로서는 설득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노조 차원의 단체 행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직원들을 개별적으로 설득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설립추진위원회가 적법한 공모절차를 통해 원장 후보자를 선정해놓고 직원들을 설득할 책임을 김 원장에게만 떠넘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9일과 10일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기는 했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김 원장이 직원들을 설득해 데려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는 것이다. 금융보안 전담기구의 설립을 개인의 설득에만 기대고 있는 형국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이직에 대한 거부감, 통합 기관 간 주도권 다툼 등 조직 전체를 보고 풀어야할 문제가 있을 것"이라며 "금융보안의 중요성에 비춰볼 때 금융당국이나 설립 사무국, 기존 경영진 등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