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스코ㆍIBM에 화웨이까지 점령나선 스마트시티…국내기업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0초

시스코ㆍIBM에 화웨이까지 점령나선 스마트시티…국내기업은? (출처-KT경제경영연구소)
AD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어느 무더운 여름, 미국 동북부 지역과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전기 공급이 갑자기 끊어지면서 대혼란이 일어났다. 신호등이 멈춰 교통은 일순간 마비됐고, 대중 교통 및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생기면서 관련 경제 활동도 마비돼 6000만 명에 달하는 주민들의 일상 활동이 사실상 정지됐다. 뉴욕시에서는 정전 사태로 인한 촛불 화재, 엘리베이터 정지 사고 등으로 사망자와 부상자가 속출하면서 진화와 구조작업을 위한 소방 출동 건수가 5000건 이상 발생했다. 이 사건은 전기 에너지가 현대인의 일상과 문명에 필수적임을 알려줬던 미국의 '대정전(Black Out)' 사태였다.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리스크가 커지면서 스마트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현재 시스코, IBM등 글로벌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시장은 화웨이 등 중국기업의 진출도 가속화되는 추세다. 국내도 통신사업자들을 중심으로 활성화에 나서고 있는 상태로 향후 신 수익원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9일 KT경제경영연구소가 발간한 '스마트에너지가 만드는 스마트한 도시'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 에너지 시장은 2010년 18억 달러에서 2020년 약 40억 달러로 2배 이상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2013년 조사에서, 유럽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가운데 스마트 그리드ㆍ스마트 빌딩 등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가 가장 많은 것을 설명하면서 스마트 에너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스마트 에너지는 에너지 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에너지의 수요와 공급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는 추세다.


실제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스마트 에너지가 부상하면서 많은 기업들이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그리드 사업등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글로벌 신재생 에너지 투자가치를 3100억 달러로 평가하며, 2004년 600억 달러 대비 5배 이상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박현수 KT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은 "현재의 스마트 시티는 아직 초기단계로 앞으로의지속적인 발전이 더 기대되는 시장"이라며 "지금까지는 시스코, IBM 등의 해외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나, 향후 적극적인 노력이 이뤄진다면 충분히 따라잡을 기회가 남아있다"고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스마트 시티 구축에 있어 스마트 에너지의 기술 활용은 통신사업자에게는 네트워크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해 사용되는 스마트 미터기 등은 스마트시티 구축에 필수 요소로, 전력망에 대한 실시간 유지 관리가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통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인프라가 필수적이며, 통신사업자의 유무선 네트워크 망을 활용함으로써 기존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시스코ㆍIBM에 화웨이까지 점령나선 스마트시티…국내기업은? (출처-KT경제경영연구소)


이미 소프트뱅크, AT&T 등의 글로벌 사업자는 이러한 통신사업자의 강점을 활용해 적극적인 스마트 에너지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내에서도 지난 12월부터 통신사업자가 LTE 통신방식을 활용한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실증 시범사업 추진하는 등 국내 스마트 그리드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스마트 에너지 관련 사업은 특정 사업자가 단독으로 할 수 없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며 "정부 부처별 파편화된 지원이 아닌 ICT 생태계의 CPND가 함께 협력해 추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정부지원과 공공성 중심의 스마트 시티 사업이 아닌 수익성 사업 중심의 스마트 사업으로 전환해 민간사업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현재 국내의 스마트 시티 정책에는 에너지 분야가 빠져있어 스마트 에너지 분야의 지원을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제도의 정비가 선행돼야 기업들의 스마트 에너지 분야의 활발한 진출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