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야기가 있는 아침]동요(童謠)를 부르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백재현 뉴미디어본부장]
초등학교 시절 선생님의 피아노 혹은 풍금 반주에 맞춰 동요(童謠)를 부르던 때를 기억 하십니까? 그럼 가장 최근에 동요를 부른 때가 언제인지 기억 하십니까?


[이야기가 있는 아침]동요(童謠)를 부르자 백재현 온라인뉴스본부장
AD

고향을 떠나 온지 30년이 넘은 저는 지금도 울적할 때면 동요를 부르곤 합니다. 그 중에 가장 즐겨 부르는 노래가 ‘고향 땅’입니다.

‘고향 땅이 여기서 얼마나 되나/ 푸른 하늘 끝닿은 저기가 거긴가/ 아카시아 흰 꽃이 바람에 날리니/ 고향에도 지금쯤 뻐꾹새 울겠네’


어릴적 고향 풍경이 눈앞에 아름답게 그려집니다. 특히 2절 가사에 ‘아이들도 지금쯤 소 몰고 오겠네’라는 부분에서는 뉘엿뉘엿 넘어가는 해를 뒤로하고 새까맣게 그을린 얼굴의 아이들이 소를 몰고 집으로 돌아오는 장면이 한 폭의 그림처럼 선명하게 보입니다.

요즘은 아이들 조차 동요 부르는 모습을 좀처럼 보지 못합니다. 숫제 동요를 잘 알지도 못합니다. 동요 속에는 깨끗함이 있습니다. 동요 속에는 순수함이 있습니다. 아이나 어른이나 동요를 즐겨 부르면 마음이 맑아 지겠지요. 그런 면에서는 참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산 위에서 부는 바람 서늘한 바람/ 그 바람은 좋은 바람 고마운 바람/ 여름에 나무꾼이 나무를 할 때/ 이마에 흐른 땀을 씻어 준대요.’


’강가에서 부는 바람 시원한 바람/ 그 바람은 좋은 바람 고마운 바람/ 사공이 배를 젓다 잠이 들어도/ 저 혼자 나룻배를 저어 간대요.’


‘산바람 강바람’이란 노래죠. ‘나무꾼’, ‘사공’ 등 이제는 사라진 단어들이지만 부를수록 마음이 저절로 깨끗해지는 것 같습니다.


‘낮에 나온 반달’의 노랫말은 또 얼마나 예쁜가요.
‘낮에 나온 반달은 하얀 반달은/ 햇님이 쓰다 버린 쪽박인가요/ 꼬부랑 할머니가 물길러 갈 때/ 치마 끈에 달랑달랑 채워 줬으면’


2003년 오늘은 위의 모든 노래의 노랫말을 지은 석동(石童) 윤석중 선생이 돌아가신 날입니다. 그가 만든 노랫말은 이 밖에도 ‘어린이날 노래’, ‘나란히 나란히’, ‘퐁당퐁당’, ‘고추 먹고 맴맴’, ‘옹달샘’, ‘졸업식 노래’ 등 무수히 많습니다.


선생은 평생을 어린이를 위해 바쳤습니다. ‘어린이 신문’, ‘새싹문학’을 창간했으며 ‘소파상’, ‘장한 어머니 상’을 제정하기도 했습니다. 또 우리나라 첫 동시집인 ‘잃어버린 댕기’를 비롯해 ‘어깨동무’, ‘굴렁쇠’ 등 많은 동화집도 냈습니다.


오늘 하루 동요를 불러보는 것은 어떨까요? 옛날을 떠올리면서.






백재현 뉴미디어본부장 itbri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