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해 勞使 임단협 더 힘들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올해 국내 기업의 노사가 임금교섭을 진행하면서 걸린 교섭횟수와 시간이 지난해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인상폭을 둘러싼 노조와 사측간의 인식차이도 더 커졌다.


30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14년 임금조정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임금교섭 타결까지 협상횟수는 평균 6.5회로 기간은 2.6개월이 걸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경총이 회원사 369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협상횟수(5.2회)나 기간(1.9개월)이 모두 늘었다.

경총은 이에 대해 통상임금 범위 확대, 60세 정년 의무화 등 임단협에서 다룰 관련 이슈가 다양해지고 노사간 의견차가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협상횟수는 규모가 클수록 급격히 늘었다. 종업원 300명 미만 기업은 4.2회였으나 1000명 이상 기업은 14.9회에 달했다. 회사가 클수록 임단협에서 노조 요구사항이 다양하고 협의사항이 많기 때문이다.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조는 평균 8.1%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용자는 평균 2.7%를 제시했다. 노사가 각자 제시한 임금인상안 격차는 5.4%포인트로 지난해(5.1%포인트)에 비해 다소 늘었다. 이 역시 통상임금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조사대상 기업 5곳중 한곳의 사용자는 무리해서 임금을 올려줬다고 답했다.


올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급(상여금 월할분 포함)은 월 278만40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 비해 4.7% 올랐다. 규모별로는 100~299인 기업이 242만9000원, 300~499인 269만1000원, 500~999인 278만1000원, 1000인 이상은 지난해 처음 300만원을 넘어선 이후 올해는 306만6000원으로 파악됐다.


올해 임협을 타결한 기업의 평균 인상폭은 8.2%로 지난해에 비해 4.2%포인트 늘었다. 이처럼 많이 늘어난 건 통상임금 범위확대로 일부 기업이 고정성을 갖춘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산입했기 때문으로 경총은 분석했다. 통상임금 산입범위를 조정하지 않은 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4.2%였으나, 산입범위를 조정한 기업은 13.8%로 크게 높았다.


경총은 "통상임금 산입범위 조정에 따른 임금인상률 상승은 근로자의 직접적인 임금 상승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초과근로수당 등 통상임금과 연동되는 수당의 상승을 통해 임금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