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소치 동계올림픽이 끝났다. 이제 시선은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 평창에 쏠린다. 평창은 네 차례에 걸쳐 83명의 인원을 소치에 파견했다. 현장 곳곳을 돌아보며 노하우를 익혔다. 이석래 군수는 "벤치마킹을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으로 준비를 착실하게 하겠다"고 했다.
모든 걸 배워서는 안 된다. 소치 동계올림픽에는 역대 올림픽 사상 최고액인 500억 달러(약 54조 원)가 투입됐다. 로사 쿠토르 알파인센터 등으로 가는 45㎞ 도로와 철도 건설에만 약 93억 달러가 들어 당초 책정한 약 121억 달러에서 4배가량 늘었다.
이제는 러시아 정부의 골칫거리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치가 신설한 동계올림픽 시설물 14곳의 유지비로만 연간 17억~22억 달러를 쓸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 외환위기까지 초래할 수 있는 문제다. 전체 예산의 60%를 초과한 아테네올림픽이 그랬다. 대량으로 지은 호텔이 관광 사업으로 이어지지 않아 빚더미에 올랐고 결국 재정위기를 맞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3일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 조건'이란 보고서를 내놓으며 경제적 측면에서 성공한 동계올림픽으로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를 꼽았다.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지출을 최소화한 점에 주목했다. 신축 시설은 3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8곳은 개ㆍ보수해 썼다. 국가대표팀 본부를 유치하고 스포츠의학 특화 병원까지 만들어 올림픽 뒤에도 미국 동계스포츠의 중심지가 됐다.
평창은 생산 유발 효과 약 20조5000억 원, 고용 창출 23만 명, 외국인 관광객 20만 명 유치 등의 청사진을 내놓았다. 그런데 벌써부터 예산이 불어난다. 원주ㆍ강릉간 철도사업 등 인프라에 투입되는 비용이 유치 당시 8조8098억 원에서 약 11조 원으로 늘었다. 엄격한 회계 통제가 중요해졌다.
활용도가 적은 건물에 돈을 쏟을 이유는 없다. 아예 가건물로 지었다가 올림픽 뒤에 해체해도 무방하다. 호텔 시설도 이미 지어진 숙박시설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낫다. 동계스포츠 선수들을 위한 선수촌을 마련하거나 협회를 상주시키는 방안도 괜찮다.
평창 올림픽 조직위원회 김진선 위원장은 "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평창을 아시아 동계 스포츠의 중심으로 만들고자 한다"고 했다. 이 목표를 이루려면 인프라 못잖게 운영 노하우가 필요하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