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 기업,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을 우려해 리콜에 소극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국내 기업들이 자진리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권고리콜·강제리콜에 대해선 기업 이미지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리콜유형은 자진리콜(사업자의 자진 수거·파기), 권고리콜(중앙행정기관의 권고에 의한 수거·파기), 강제리콜(중앙행정기관의 명령에 의한 수거·파기) 등이다. 리콜은 기업이 자사제품의 결함에 대해 소비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제도를 말한다.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101개 기업체 리콜실무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리콜제도 운영 현황 및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4.5%가 기업의 자진리콜 시행이 기업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호의적 태도를 보인 반면, 강제리콜에 대해서는 7.3%만이 긍정적이었다고 6일 밝혔다.

실제로 리콜을 시행할 때도 소비자와 언론의 부정적 인식(82.5%)과 소비자 불신에 따른 매출감소(62.9%), 소비자의 과도한 보상 요구(58.8%) 등의 이유로 적극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6.3%가 기업의 리콜 활성화를 위해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제도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편 기업의 리콜전담기구 설치·내부규정 보유 등 인프라 실태를 확인한 결과 46.9%의 기업만이 리콜전담부서를 두고 있었다. 대기업(63.6%)에 비해 중견기업(45.2%)과 중소기업(34.5%)의 설치비율이 낮았다. 업종별로는 자동차(100%)나 식품(58.8%)보다 공산품(40.0%), 전자기기(35.7%), 의약·화장품(34.8%) 분야가 취약했다.


리콜업무를 위한 내부절차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26.6%) 리콜을 포함한 시정조치 판단 기준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28.7%)도 상당수 있었다. 기업규모별로 볼 때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리콜 관련 내부 절차나 기준 등 인프라가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콜여부를 결정하는 의사결정권은 77.7%가 최고경영자에게 있다고 답해 사업부서 임원(11.7%)이나 고객부서 부서장(3.2%)등 실무 담당자의 결정권이 미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 등이 리콜 관련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업·소비자가 리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정보제공과 교육을 확대해 리콜을 활성화 할 것을 관련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업자단체에는 기업의 특성에 맞는 자진리콜 활성화 대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할 방침이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