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난해 국내 LTE 장비 시장 40% 감소…향후 5년간 역성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54초

2013년 국내 LTE 장비 시장 규모 1조8587억원…연평균 21% 줄어 2017년에는 9868억원

"지난해 국내 LTE 장비 시장 40% 감소…향후 5년간 역성장"
AD


[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지난해 국내 롱텀에볼루션(LTE) 장비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는 향후 5년간 지속돼 오는 2017년에는 시장 규모가 1조원 미만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13일 한국IDC(대표 홍유숙)가 공개한 '한국 LTE 시장 2013~2017년 전망 및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LTE 서비스 전국망 구축 완료와 사업자의 시설설비투자(CAPEX) 감소로 2013년 국내 LTE 장비 시장은 전년 대비 40% 감소한 1조8587억원 규모를 기록했다.


이 같은 감소 추세는 향후 5년간 지속되면서 연평균 21% 줄어 2017년에는 9868억원 규모로 감소할 전망이다.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묶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기술을 포함해 LTE 어드밴스드(LTE-A) 인프라가 확대되고 있으나 기존 인프라에 대한 증설 또는 유연한 소프트웨어 구현 중심의 인프라 증대에 그쳐 당분간 CAPEX의 성장은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김민철 한국IDC 선임 연구원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서비스 상용화 이후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서비스를 상용화하기까지는 10여년이 걸렸지만 사업자 간 치열한 경쟁으로 LTE 서비스를 상용화하는 데는 5년여밖에 걸리지 않았고 LTE-A는 다시 2년 후 서비스했다"며 "망 구축 기간이 단축되면서 장비 제조사 입장에서는 LTE를 포함한 이동통신 산업이 더 이상 안정적인 고정 수입원이 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의 5세대(5G) 최초 시범 운영 계획에 이어 2020년 통신사업자의 5G 상용화 계획, 기존 LTE와 LTE-A 인프라의 라이프사이클이 맞물리면서 장기적으로는 사업자의 대규모 투자 활성화가 다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LTE 서비스 상용화 후 2년 만인 지난해 3분기 LTE 서비스 가입자는 전체 스마트폰 가입자의 70%를 차지했다. LTE 서비스를 통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또한 69.7%의 비중을 나타냈다. 전체 무선데이터 트래픽은 지난해 3분기 기준 80페타바이트(PT)로 전년 동기 대비 67.5% 증가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