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병대캠프 사고’ 모금운동 벌이는 태안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간부회의서 직급별로 3~1만원씩 걷기로 정한 뒤 직장협의회와 토론회에선 자발적 모금으로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충남 태안군이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기금 모금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 달 18일 사고로 목숨을 잃은 공주사대부고 학생들을 위한 기금 마련이다.


사고가 벌어진 곳이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항 부근이고 군청이 법적인 책임은 없지만 도의적인 책임에서 모금운동을 펼치고 있다는 것이 태안군의 설명이다.

하지만 공무원들에게 모금액을 정해 돈을 걷기로 해 모금활동의 진정성이 많이 떨어진다.


태안군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안전정책실의 건의로 5급 사무관 이상은 3만원, 6급 담당은 2만원, 7급 이하 직원은 1만원을 걷어 공주사대 부고 학생들을 위한 기금을 모금할 것을 논의했다.

간부회의는 급여에서 일괄적으로 걷어 전달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그러면서 지난 21일 태안군직장협의회장 등 임원진과 주요 간부급 직원들이 참가한 수요토론회에서는 월급에서 강제 모금이 아닌 각 실과별로 자발적으로 모금해 해병대캠프 사고와 관련한 모금운동을 펼치고 있는 공주사대 총동문회에 전달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강제 모금을 정해놓고 겉으로는 자발적 모금활동하는 바람에 태안군 공무원들의 반발이 일고 있다.


해병대캠프 사고에 태안군의 결정적인 법적, 행정적인 과오가 없는데도 사망한 학부모들의 항의방문이 수차례 진행되는 등 군이 곤란한 입장에 처하자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기금을 모아 전달하자는 미봉책을 세운 것이라는 지적이다.


군청의 한 공무원은 “태안군이 간부급 직원들의 회의를 통해 사실상 강제적인 모금운동을 벌이고 있다”며 “군이 면피성 행정이 아니라 전국최고의 관광휴양지로 수많은 관광객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휴양을 즐길 수 있도록 근본적인 안전장치 마련 등 제도 개선이 먼저”라고 말했다.


다른 공무원은 “사고가 날때마다 단순하게 성금이나 걷어 유가족들에게 전달해서 적당히 넘어가려는 발상 자체가 치졸하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태안군이 해병대 캠프 사고에 행정적, 법적으로 책임은 없지만 군내에서 사고가 발생해 도의적인 책임에서 모금운동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