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산교육지원청, 원상회복 범시민 10만 서명운동 돌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


"광주 교육환경 업그레이드는 광산교육지원청 복원에서"

광산교육지원청, 원상회복 범시민 10만 서명운동 돌입
AD

광주시 광산교육지원청 원상회복을 바라는 범시민 10만 서명운동이 26일 시작 됐다.


광산교육발전협의회(위원장 민형배)가 추진하는 서명운동은 오는 10월 말까지 계속된다.

광산교육발전협의회는 구청 민원실, 관내 동 주민센터 그리고 각급 학교를 중심으로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 구청 홈페이지(<www.gwangsan.go.kr>)에서는 온라인 서명을 받고 있다.


행정기관, 의회, 시민사회단체가 서명운동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광주 교육환경의 ‘불균형’을 바로잡자는 의지가 강하게 작용했다.


현재 광주시교육청 산하에는 동부·서부 등 2개 교육지원청이 있다. 동부교육지원청은 동구와 북구, 서부교육지원청은 광산구, 서구, 남구를 관할하고 있다. 문제는 두 교육지원청의 업무량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


업무량의 차이가 주는 여러 부작용은 지역별 교육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일례로 동부교육지원청의 관할 학교는 218개 교. 서부교육지원청은 이보다 1.6배 많은 361개 교를 담당하고 있다.


학생수 역시 동부교육지원청은 8만8,306명인데 비해, 서부교육지원청은 16만9,564명으로 동부 보다 1.9배 많다.


광산교육지원청을 설립하면 이 같은 불균형이 해소돼 광산구는 물론 서구와 남구의 교육 환경도 한층 좋아질 것이라는 게 광주지역 교육계의 일치된 시각이다.


광산교육발전협의회는 불균형과 함께 ‘형평성’을 광산교육지원청 복원 근거로 꼽고 있다. 지난 1988년 광산군이 광주시로 편입되면서 광산군교육청은 광주서부교육지원청으로 통합됐다. 광역시에는 군을 둘 수 없도록 한 당시 지방자치법의 규정 때문.


하지만 1994년 2월 지방자치법이 개정돼 이듬해 인천광역시로 편입된 강화군과 대구광역시로 편입된 달성군은 각각 고유의 교육청을 유지하고 있다.


통합 당시 관련법의 미비로 계속 보고 있는 불이익의 악순환을 광산교육지원청 회복으로 끊겠다는 것이 지역 교육계의 의지이다. 이와 함께 광산구 인구가 앞으로 5년 내에 50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 또한 광산교육지원청 원상회복의 이유이다.


민형배 광산구청장은 “광산교육지원청 원상회복은 광산뿐만 아니라 서구와 남구 등 광주 전체의 교육환경을 더욱 이롭게 하는 가장 확실한 대안이다”며 “광산 그리고 광주 교육의 백년대계를 위해 정치권, 사회단체 등 모든 세력과 연대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노해섭 기자 nogary@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