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멸종위기 석곡, 인공증식으로 보길도 돌아오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3초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을 인공적으로 배양해 자연으로 돌아왔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광수)은 생물자원이용기술연구단과 공동으로 ▲석곡 ▲지네발란 ▲금자란 등 멸종위기 난과 식물 3종 1만6100촉(난초의 포기를 세는 단위)을 인공으로 배양해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보길도에 심었다.

이번에 인공적으로 심어 재배하는 난과 식물들은 과거 보길도를 포함한 남해안 일대에 널리 분포했으나 원예용으로 무분별하게 채집돼 모두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에 처한 종들이다. 석곡 1만3000촉, 지네발란 3000촉, 금자란 100촉이 자연으로 돌아왔다.


멸종위기 석곡, 인공증식으로 보길도 돌아오다 [사진제공=환경부]
AD


국립공원관리공단은 30여 명의 인력을 동원해 보길도 내 곰솔이나 바위틈에 오래되면 부패해 사라지는 친환경 노끈을 이용해서 부착하는 방식으로 석곡 등 3종을 심었다. 지네발란과 금자란은 이번에 생물자원이용기술연구단이 환경부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증식기술을 처음 개발해 최초로 인공 증식에 성공한 것이다. 석곡은 기존에 증식기술이 개발되기는 했으나 대량으로 모종을 길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장훈 국립공원관리공단 생태복원부장은 "복원성공여부는 2~3년 후 옮겨 심은 식물들이 제대로 뿌리내리고 정착했는지에 달려 있다"며 "이번 복원 식재가 국립공원의 생물종 다양성을 높이고 도서지역 생태계 의건강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