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경제 과도한 낙관론 경계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최근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미국경제에 대한 과도한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29일 남대문로 상의회관에서 개최한 '미·중·일 경제정책 기조와 우리 기업의 대응 세미나'에서 박현수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오바마 2기 정부의 경제정책과 대응'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미국경제가 유럽 등 다른 선진 경제권에 비해 호조인 것은 사실이지만 회복 기반이 아직 취약하다"고 주장했다.

박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2월 이후 미국 주택가격과 거래량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최근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주택시장 회복세가 완만한 수준에 그치고 있고 부실주택도 여전한 실정"이라며 "실업률도 금융위기 후 최저 수준이나 7% 중후반으로 높은 상태고 재정 긴축 영향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다음달 18일로 예정된 연방정부 채무한도 증액 협상이 중요한데 민주당과 공화당의 경제철학이 달라 합의 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최근 보호무역 기조는 다소 완화됐지만 경기 상황에 따라 다시 강화될 소지가 있으며 한미 FTA 발효 이후 미국의 대한(對韓) 무역수지 적자가 48.6% 증가하면서 통상 압력이 가중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시진핑 시대, 한중 산업협력'에 대해 발표한 이문형 산업연구원 국제산업협력센터 소장은 "두 자릿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던 중국경제가 최근 7%대에 머무르며 저성장 시대 진입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성장률 저하는 중국 정부가 성장동력을 수출 위주에서 내수 중심으로 전환하고 산업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 소장은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국내 기업의 대중국 진출 전략도 근본적으로 변화돼야 한다”며 "한국의 중국 수출점유율이 하향세인 상황에서 수출용 임가공 위주였던 기존 전략을 서비스산업 동반 진출, 현지화 수준 제고 위주로 바꿔야 한다"고 평가했다.


끝으로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도 '아베노믹스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자민당 정권의 아베노믹스가 한국 기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무제한적인 양적완화에 기반한 의도적 엔저는 국내 기업의 수출경쟁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