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보름 부럼과 귀밝이술 왜 먹었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세시음식에서 재미와 건강을 함께 담은 조상들의 지혜…불포화지방산이 혈관과 피부 부드럽게 해줘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오는 24일은 정월 대보름이다. 설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큰 명절 중 하나다.


설을 지나 비로소 본격적인 새 생명의 활동을 알리는 정월 대보름엔 성이 다른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운이 좋다는 ‘세성받이밥’, 부스럼을 막아준다는 ‘부럼’을 먹는다. 게다가 일 년 내내 좋은 소리만 듣게 한다는 ‘귀밝이술’, 여름 더위를 막아준다는 9가지 묵은 나물로 차려진 ‘진채식’까지 이웃들과 나눠먹으며 건강을 생각하는 조상의 지혜가 담겨있다.

충남도농업기술원이 풍성한 보름달을 바라보며 한해의 건강과 풍요를 빌고 계획하는 정월 대보름을 맞아 세시음식 종류와 의미를 소개했다.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에 만들어 먹는 음식을 ‘상원절식’이라 한다. 오곡밥, 약식, 귀밝이술, 부럼, 복쌈, 진채식 등이 그것이다.

대보름날 새벽엔 땅콩이나, 잣, 호두, 밤 등 부럼을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물어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게 빈다.


껍질이 딱딱한 견과류를 깨물었을 때 ‘딱!’소리에 귀신이 놀라 물러가게 하기 위함이라 하지만 한의학적으로 보면 부럼(견과류)이 갖고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혈관과 피부를 기름지고 부드럽게 해주기 때문이다.


대보름 전날 밤 저녁엔 오곡밥을 나눠 먹어야 운이 좋다고 해 아이들은 남의 집에 들어가 오곡밥을 훔쳐 먹기도 했다. 오곡밥을 얻으러 오는 사람들이 많아야 일꾼이 많이 생겨 풍년이 든다고 믿어 은근히 기다리기도 했다.


오곡밥 구성을 보면 시대나 기호에 따라 조금씩 달라졌다. 하지만 보통 팥, 수수, 차조, 찹쌀, 검은 콩을 기본으로 짓는다. 오곡밥에 들어가는 5가지 곡식은 전통의학에서 보면 오장(五臟) 모두가 조화롭게 영양을 공급 받을 수 있는 균형 있는 재료라 할 수 있다.


팥은 간에 좋은 음식으로 비타민 B1이 많다. 피로회복, 이뇨작용, 해독작용을 해준다. 수수는 심장의 혈행을 좋게 해준다. 차조는 독이 없고 소화흡수가 잘돼 위와 비장을 튼튼히 해준다. 찹쌀은 서늘한 성질을 갖고 있다. 검은 콩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것처럼 신장과 방광에 좋은 음식이다.


오곡밥과 같이 먹는 진채식은 가지나물, 호박고지, 무나물 등의 묵은 나물로 섬유질과 각종 무기질성분을 더해 새로운 한해를 힘차게 시작할 수 있게 활력을 불어넣어준다.


귀밝이술은 겨울동안 움츠려있던 몸에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간 기능을 활발히 해 신체의 말단인 눈과 귀에까지도 기혈공급이 잘 뻗어나갈수록 돕게 하기 위함이다.


올 대보름엔 오곡밥과 부럼으로 가족들 건강을 챙기는 조상들의 지혜를 되새기며 이웃들과 정을 나누는 소통의 장으로 열어 가면 어떨까.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