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일본 총선에서 자민당이 승리한 후 엔화약세가 심화되면서 국내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내세운 '무제한 양적 완화'로 일본 중앙은행(BOJ)이 유동성을 확대시키면 엔화의 가치가 떨어지고, 이는 자동차와 같이 일본 업체들과 경쟁해야 하는 업종에 대한 투자심리를 약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최근의 엔화 가치 하락이 실제로 수출주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단기 악재에 그칠 가능성을 더 높게 봤다.
곽병열 유진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최근 나타난 엔화 약세 현상은 자민당의 압승과 이에 따른 BOJ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을 선반영한 것"이라며 "엔·달러 환율이 85엔을 넘어 90엔 수준까지 상승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점쳤다.
엔화약세의 트렌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본 내 자금의 해외투자가 본격화돼야 하지만 그럴 만큼 일본 내 자금이 해외투자에 적극적일 가능성은 아직 없다는 평가다. 오히려 중국과의 영토분쟁 사태에서 볼 수 있듯, 자민당의 우경화 시에는 중국과의 마찰로 해외생산기지의 위축 및 철수가능성이 커져 본토로의 자금송환으로 엔화강세가 나타날 가능성도 감안해야 한다는 것.
또한 일본 국채의 내국인 비중이 90% 이상이어서, 양적완화를 하더라도 글로벌 유동성에 미치는 효과보다는 자국내 자금흐름에 영향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미국·유럽 등 국채의 상당수는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유동성 효과가 큰 점과는 대비된다고 진단됐다.
전지원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BOJ의 유동성 공급은 그동안 지속돼 왔지만 장기적인 디레버리징(부채축소) 현상은 이를 압도했다"며 "장기 국채 금리 상승시 발생할 막대한 자본손실과 디레버리징 강화 가능성을 감안하면, BOJ의 국채비중 확대는 실현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곽 팀장은 "최근 국내 자동차주의 주가 하락은 상당부분 심리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라며 "자동차주 주가는 2009년 이후 뚜렷한 상관성이 없었는데, 이는 해외생산기지 효과, 탑라인의 평균판매단가(ASP) 개선효과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크로적인 측면에서 원화강세는 수출단가 상승을 의미하는 부정적 측면이 있지만, 한편으로 외국인들에게는 국내기업 및 주식에 대한 매력도를 높이는 효과는 커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자율 헤지 기능이 있는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아직 일본 신정부의 내각구성 등이 본격화되지 않는 상황에서 BOJ가 아베 내각에 전적으로 유리한 카드만을 제시하기는 이른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김유리 기자 yr6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