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통령이 왔다 가면 뭐하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카자흐스탄에 투자한 한 한국사업가, 현지 지자체 정부로부터 토지 강탈당해...현지 주재 교민 보호 요청 무시 논란도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얼마전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 한국 중소기업의 투자를 요청했다는 소리를 듣고 복장이 터졌다. 정작 투자한 우리는 땅을 통째로 뺏기게 생겼는데‥."


2년 전 가족과 함께 카자흐스탄에 건너가 사업을 하고 있는 강성호씨(49ㆍ가명)의 하소연이다.

강씨가 4일 아시아경제신문과의 전화 및 이메일 인터뷰에서 털어 놓은 사연은 이렇다. 강 씨는 카자흐스탄 진출 후 침켄트시에서 한식당ㆍ중장비 임대업을 하며 사업 확대를 모색하다가 지난해 11월 회사 인근에 저온 창고를 지을 생각으로 2500㎡의 땅을 구입했다.


그러나 강씨의 계획은 지난 8월 초 침켄트시 정부가 해당 부지를 무단 점유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으면서 물거품이 됐다. 어느날 밤 갑자기 공사 인부ㆍ장비가 들이닥쳐 땅을 파고 구조물을 세워 대형 빌보드판을 짓기 시작했다. 알고 보니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9월 말 방문에 대비해 침켄트 시정부가 신도시 계획을 홍보하기 위한 공사였다. 토지주인 강씨 회사와의 사전 협의나 보상은 전혀 없었다. "왜 남의 땅에 불법 공사를 하느냐"며 여러 경로로 항의했지만 "억울하면 소송해라. 조용히 있어라. 잘못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노골적인 협박만 돌아 왔다.

현지 주재 우리나라 외교 공관들에게도 도움을 요청했지만 별 도움을 받지 못했다.


특히 강씨는 답답한 마음에 혼자서 회사 땅에 설치된 '불법 공사 시설물'을 '철거' 한 후 현지 경찰들로부터 신변 위협을 느껴 24시간 영사 콜센터에 전화를 했지만 오히려 냉대를 받았다. 현지어를 못하는 자신을 대신해 출동한 경찰들과 전화 통화라도 해줄 줄 알았지만, 전화를 받은 알마타 주재 영사관 직원은 "내정간섭이어서 우리는 해줄 수 있는 게 없다. 혼자서 알아서 슬기롭게 처리하라"며 전화를 끊었다.


강씨는 "한국과 투자보호협정까지 체결한 나라에서 공식적인 절차와 허가를 통해 투자를 했는데 이런 대접을 받으니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며 "1년간 준비한 사업이 무산돼 손해가 막심하다"고 호소했다.


한편 카자흐스탄은 지난 9월 초 공식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에게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한국의 중소기업이 적극 투자하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하는 등 한국 기업, 자본 유치에 적극적이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