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본 기업 해외기업 사냥 잔치 벌인다( WSJ)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미즈호금융 CEO"해외진출은 생존의 문제"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일본 기업에 해외 기업 사냥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금이 넉넉한데다 엔화가 강세를 보이이고 일본에서는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최근 기업 사냥의 특징은 덮썩 사던 과거와 달리 꼼꼼히 실익을 따져 인수해 직접 경영하고 내수 전문 기업까지도 나선다는 게 특징으로 꼽히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 일본의 흐릿한 경제전망이 전례없는 해외인수합병(M&A) 잔치를 부채질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일본의 5대 종합상사인 마루베니가 29일 미국의 3대 곡물 트레이더(중개업체)를 부채포함 56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이번 인수규모는 일본 기업이 단행한 최대규모의인수이고,전세계에서도 7번째로 큰 규모이다.


마루베니는 지난해부터 28건의 인수에 160억 달러를 투자했다.


또 지난주에는 저팬타바코가 벨기에 담배회사 그리슨(Gryson NV)을 6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했고, 다케다제약이 브라질의 한 제약회사를 2억4600만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 미츠비시상사가 28억 달러에 인도네시아 천연가스처리공장 지분 45%를 취득하는 등 해외자원 분야에서 인수를 확대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에 따른 내수 부진을 겪고 있는 맥주업체 아사히와 장난감 제조업체 토미 등 전통의 일본 내수기업들도 해외 인수에 뛰어들고 있다.


아사히는 지난 3년간 7건의 인수해 40억 달러를 지출했다. 호주 맥주 회사 1곳을 인수하고 호주와 뉴질랜드,말레이시아 청량음료 회사도 사들였다.아사히는 오는 2015년까지 8000억엔(미화 약 100억 달러)을 투자해 해외매출 비중을 30%까지 높일 계획이다.


세계 5위의 장난감 업체인 토미는 14세 미만 아동 인구의 감소라는 현실을 타개하고 매출을 늘리기 위해 지난해 매출액(20억 달러)의 약 3분의 1인 6억4000만 달러를 들여 미국 장난감 업체 RC2를 인수해 덩치를 키웠다.


시장조사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일본 기업들의 해외투자는 올들어 지금까지 340억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9위에서 3위로 훌쩍 뛰어올랐으며 이런 추세라면 연간 인수규모는 지난해 (840억 달러) 수준과 맞먹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인수규모는 록펠러센터를 사들인 1980년대와 1990년대의 근 세배 수준이다.


일본 기업들의 M&A붐의 원동력은 수십년 동안의 근검절약과 부채감축으로 쌓은 2조6000억 달러의 현금.이는 미국 기업(2조2000억 달러)보다 많은 것이다.


게다가 최근 달러당 80엔을 밑도는 엔화 강세로 일본 기업들은 해외투자시 2년 전에 비해 약 10%의 환차익도 챙길 수 있다는 점도 요인이다.


아울러 성장률이 1%정도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엔화 강세와 높은 노동비용과 전기요금 등으로 소니와 혼다 등 제조업체들의 국제경쟁력을 잠식하고 있어 해외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토미야마 칸타로 토미 사장은 “국내에서는 성장여지가 별로 없고 갈라파고스 신드롬(세계시장과 단절된 상황)을 극복하고 싶었다”고 해외진출 이유를 설명했으며, 아사히맥주의 인수합병 담당 이스미야 나오키씨도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으며, 합병이 우리의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A자금을 대는 미즈호 금융그룹의 사토 야스히로 최고경영자(CEO)는 “일본 기업들은 해외에서 싸우는 것 외에 별도리가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그것은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희준 기자 jacklondo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