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선의열단 후손들 다시 모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단재 신채호 선생 기념사업회’, 신채호 서거 76주년 맞아 충북 청원군 귀래리 묘소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조선의열단 후손들이 단재 신채호 선생 서거 76주년을 맞아 한 자리에 모인다. 


‘단재 신채호 선생 기념사업회’는 21일 일제강점기 때 무장투쟁론을 조직적으로 실천했던 조선의열단(나중에 조선의용대로 다시 조직) 후손들이 이날 오전 11시 충북 청원군 귀래리 신채호 선생 묘 앞에 모인다고 밝혔다.

이 자리엔 ▲신채호 선생 며느리인 이덕남 여사(67) ▲조선의열단을 창단하고 노선과 이념을 벗어나 광복군을 만든 김원봉 지사 여동생 김학봉 여사(84) ▲조선의열단과 조선의용대를 창단해 십자령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한 윤세주 지사 증손녀 윤영화 여사(83) ▲스님출신으로 의열단을 창립한 김성숙 지사의 외손자 민성진 ▲민중투쟁만이 유일한 독립 신념아래 의열단을 도운 심산 김창숙 지사의 손자 김창(70) ▲조선의열단 김근수 지사와 17세 처녀로 조선의용대에 참여한 전월선 여성광복군 아들 김원웅 단재 신채호 선생 기념사업회장 등이 참석한다.


이들은 애국·독립을 위해 몸 바쳤던 선생을 추모하고 희생정신을 기린다.

김원웅 ‘단재 신채호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은 “조선의용대는 일제관리와 군경들이 가장 무서워했던 항일조직이다. 언제 어디서 나타나 폭탄을 던지고 권총을 들이댈 줄 몰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선의용대가 무장투쟁노선을 택한 건 3·1운동이 비폭력정신으로 펼쳐졌다는 분석에서였다.


김 회장은 또 “미국 윌슨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원칙에 기대를 걸고 일으킨 3·1운동이었지만 미국이 일본의 식민 지배를 비호한 것에 대한 실망이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그런 가운데 독립은 남의 힘으로 얻은 게 아니다”며 조선의열단의 현실인식은 매우 투철했다고 강조했다. 신채호 선생은 의열단의 강령인 조선혁명선언을 작성했다.


한편 조선의용대는 1942년 중국 팔로군사령부가 일본군에게 포위돼 위기에 놓였을 때 최전방돌격부대로 많은 사상자를 내며 퇴로를 뚫어줘 주은래, 팽덕회, 등소평이 탈출할 수 있도록 했다. 중국 지도부인사들에겐 생명의 은인이었다. 


중국의 시인 곽약말은 “조선의용대는 항일투쟁의 가장 용감한 전사”라고 말했을 정도로 중국 사람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준 항일투쟁조직이기도 하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단재 신채호 선생 기념사업회’(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2가 98-4/☎ 02-784-0784, FAX 02-718-5691 / 핸드폰 010-3795-2885)로 물어보면 된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