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북한의 식량난 '김정일 사망'후 설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51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2010년을 기준으로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은 1074달러. 남한(2만759 달러)의 19분의 1 수준이다. 무역총액은 4억 달러로 남한 8916억 달러와 212.3배의 격차를 보였으며, 수출과 수입은 각각 15억 달러와 27억 달러로 310.9배와 157.5배 차이가 났다. 연간 자동차 생산은 4000대, 도로 총길이는 2만5950km이다.


북한은 폐쇄적인 사회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김정은 후계체계가 안착됐는지, 북한 주민의 식량난이 어느 정도인지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 공산국가 고유의 계획경제체제를 유지하며 철저히 시장을 통제한다. 북한도 유엔가입국인 만큼 매년 유엔에 인구동향을 보고하지만, 1965년 이후 경제지표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통계청은 매년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북한 자료를 수집해 '북한의 주요통계지표'를 발간하고 있다. 북한 통계 작성 어떻게 가능할까?


통계청 관계자는 "국내외 각 기관에 흩어져 있는 북한 통계를 보기 쉽게 한 곳에 모아놓은 것"이라며 "기상청에서 북한 기상상황을 파악해 작물량을 작성하고, 국정원 등에서 파악한 정보도 활용했다"고 말했다.

인구통계는 북한이 유엔에 보고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됐고, 무역통계의 경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서 북한과 교역하는 국가의 주재원이 해당 국가의 교역량을 역추적해 만들어진다.


때문에 이같은 통계는 추정치일 뿐,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북한 경제를 연구하는 국방대학교 김연수 교수는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이 1000달러가 넘는다고 나왔는데 보통 1000달러 이상이면 식량난을 겪지 않는다"며 "북한의 실생활 수준이 반영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코트라 관계자도 "다른 나라처럼 정확하게 잡힌 통계라기 보다는 북한의 무역량을 역추적해 작성한 통계"라며 "동향 파악이 목적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시인했다.


북한 통계가 부정확하면서 북한을 연구하는 전문가들도 어려움을 호소한다. 통일연구원의 한 연구위원은 "궁여지책으로 사용한다"며 "숫자를 받쳐주지 못하는 말로만 때우는 경우가 많다"고 털어놨다.




지연진 기자 gy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