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0/50>│초보 암환자, 오늘을 선물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50/50>│초보 암환자, 오늘을 선물하다
AD


시애틀 도심을 가르며 한 남자가 달린다. 27살의 라디오 작가 아담 (조셉 고든 루빗)의 아침은 이렇게 건강한 심장 박동과 함께한다. 그런 그가 어느 날 병원에서 말초신경초종양, 즉 척추암이라는 진담을 받는다. 생존과 죽음, 확률은 50대 50. “카지노에선 최고의 승률”이라고 떠드는 친구 카일(세스 로건)의 위로에도 불구하고, 여자친구는 “병원과 그 밖의 세상을 합치고 싶지 않”다며 자신의 곁을 떠나고 더 이상 직장도 다닐 수 없고 머리는 “볼드모트처럼”처럼 밀어버린 아담에게 삶은 이미 승산 없는 게임처럼 보인다. “암에 걸렸다고 말하면 동정심에 헌팅률 100%”일 거라고 부추기는 카일과 함께 바에서 여자를 만나 봐도 기분은 도통 나아지지 않고, 항암 치료에 따른 구토는 점점 심해지며, 가끔 찾아오는 엄마의 과도한 잔소리에 두통만 더해 갈 뿐이다. 우울과 분노를 달래기 위해 찾아간 재활 센터의 심리치료사는 이제 겨우 24살의 풋내기. 하지만 초보 치료사 캐서린(안나 켄드릭)의 서툴지만 진심 어린 접근은 초보 암 환자 아담의 입가에 잃어버린 미소를 찾아준다.
<#10_LINE#>

<50/50>│초보 암환자, 오늘을 선물하다

사랑도 삶도 교통사고 같은 것


<50/50>│초보 암환자, 오늘을 선물하다

영국의 인기 TV 프로그램 <다 알리 지 쇼>(Da Ali G.Show)의 프로듀서였던 패기 만만하던 윌 라이저는 25살에 척추암 선고를 받았다. 그리고 8개월가량 이 사실을 숨기고 암 투병을 이어갔다. 친구였던 배우 세스 로건은 항암 치료 중이던 윌 라이저에게 시나리오 쓰기를 권유했고 그렇게 탄생한 영화가 바로 <50/50>이다. <500일의 썸머>에서 사랑에 빠지고 실연하고 새로운 사랑에 눈뜨기 까지 다양한 심리 단계를 예민하게 표현했던 배우 조셉 고든 루빗은 충격과 부정 저항과 수용에 이르는 암환자의 심리적 변화 단계 역시 사실적으로 포착해낸다.. 특히 병원 앞 정류장에서 홀로 버스를 기다리거나 소파에 웅크리고 누운 아담의 모습은 마치 지구에 불시착한 작은 우주인처럼 안쓰럽다.


우리는 모른다. 오늘 살 확률도 내일 죽을 확률도, 행복할 수 있을 확률도 불행할 확률도. 그렇거나 아니거나 늘 반반, 50대 50이다. 추측하려고 해도, 바꿔보려고 안간힘을 써 봐도 운명이라는 것은 인간의 의지 너머에서 늘 가혹하게 패를 뒤집는다. 자동차 사고의 위험성 때문에 평생 운전면허도 따지 않았던 아담의 삶에 갑자기 덤프 트럭과 부딪힌 것 같은 암 선고가 떨어진 것도 마찬가지다. “뭐가 이상해? 그냥 심장이 멈춘 거지.” 병동에서는 어제까지 함께 항암 치료를 받고 어울리던 옆자리 환자가 다음날 사라지는 것이 아무렇지도 않다.


시작부터 주인공에게 절망적 암 선고를 내려버린 <50/50>은 “이제 뭐하죠?” 라는 희망적인 질문으로 마무리 짓는다. “그 가까운 캐나다도 못가 보고, 사랑 고백도 한번 못해봤는데...” 삶도 사랑도 어차피 확률은 반반. 어쩌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유일한 일은 생명이 나의 편일 때 최선을 다해 사고를 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소파에서 기어 나와 세상을 보는 것, 망설임을 버리고 고백하는 것, 내일이 허락되지 않을 수도 있는 오늘을 가장 후회 없이 사는 것. 그것이 고작 50%만의 긍정만을 허락한 이 얄미운 세상을 향한 가장 건강한 ‘빅 엿’ 먹이기 인 것이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백은하 기자 o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