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씨티그룹, 日금융감독당국 달래기 바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최근 7년간 일본에서 3건의 금융스캔들을 낸 씨티그룹이 일본 금융감독의 제재조치를 무마하기 위해 경영진 교체 등을 고려 중이라고 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지난 4일 씨티그룹은 스티븐 버드 아시아태평양지역 공동최고경영자(CEO)의 관할인 일본지사 ‘씨티그룹저팬’을 뉴욕 본사의 경영서열 2위인 존 헤이븐스 최고운영책임자(COO)의 직할로 돌렸다. 씨티그룹 측은 “일본지역 사업의 중요성을 반영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으나, 관계자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일본지사를 맡을 새 임원진 인선을 위해 헤드헌팅 업체에 위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런 버클리 현 씨티그룹저팬 CEO가 교체될 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씨티 내부 소식통은 버클리 CEO가 일부 직원들로부터 감독당국과 소통하는 데 문제가 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고 전했다.


WSJ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金融廳)은 씨티그룹의 내부 규제관리 체계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을 갖고 있으며 제재조치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여름에는 금융청 당국자들이 씨티그룹의 뉴욕 본사를 직접 방문해 비크람 판디트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씨티그룹저팬 문제를 논의하기도 했다. 관계자는 “일본 금융감독 당국이 씨티의 관리 부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강조하려는 일종의 시위”이라고 말했다.

일본 금융청은 지난해부터 씨티그룹의 전직 트레이더 두 명에 대해 국제금융시장의 기준금리로 통용되는 리보금리(LIBOR, 런던 은행간 금리)를 조작하려 한 혐의를 두고 조사중이다. 일본 금융청을 비롯해 미국 법무부와 증권거래위원회(SEC), 영국 금융감독청(FSA) 등은 2006년부터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까지 씨티를 비롯한 대형은행들이 미국 달러화에 적용되는 리보금리를 어떻게 결정했는지를 집중 조사하고 있다.


가장 심각한 사건은 씨티그룹저팬이 관련 금융규제 미준수로 계속해서 당국의 행정처분을 받고 있는 것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앞으로 2개월 안에 금융청이 제재조치를 내릴 것이며, 수위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영업정지 명령을 내리는 ‘중징계’도 가능하다. 금융청은 씨티가 투자신탁 등 금융상품 판매 과정에서 고객에게 충분하게 정보를 고지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 6월에는 규제당국으로부터 돈세탁 방지 규정 미비로 1개월간 영업정지 명령을 받기도 했고, 2004년에는 씨티그룹저팬 프라이빗뱅킹(PB) 사업부가 주가조작에 쓰인 자금을 대출해 준 것이드러나 PB사업부가 철수하고 찰스 프린스 당시 CEO가 일본으로 날아와 고개숙여 사죄하기도 했다.


씨티그룹은 내년에 일본 진출 100주년을 맞는다. 현재 일본 전국에 32개 소매영업지점을 두고 있으며, 보유 예금자산 규모는 3조5000억엔(약 447억달러)에 이른다. 아시아 전체로는 700개 지점에 보유 예금자산 2400억달러이며, 일본은 씨티그룹의 아시아지역 영업전략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