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수기 수질 일반세균 기준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정수기업계 "병원성 세균과 무관...환경부 기준 실효성 없다"

-해롭지 않은 일반세균, 왜 따집니까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먹는 물에 포함된 일반세균 기준안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대치하고 있는 건 환경부와 정수기 업계다. 최근 들어 정수기 물이 기준안을 초과한 일반세균을 보유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정수기 업계는 "현행 기준안은 실효성이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기준안을 현실에 맞게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수기의 수질기준은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등에 관한 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정수기는 1ml당 일반세균 100cfu(colony forming units)를 넘지 않게끔 규정돼 있다. 이는 정수기 물 1ml 안에 일반세균이 100집락 이상 있으면 안 된다는 소리다.


정수기 업체들은 일반세균으로 정수기 물이 오염됐는지를 따지는 건 부적절하다고 지적한다. 일반세균 검사로는 말 그대로 세균의 유무만 알 수 있을 뿐, 실제로 유해한 대장균 등 병원성 세균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일반세균이란 유해성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세균을 가리키는 용어"라며 "일반세균이 검출됐다고 해서 깨끗하지 않은 물이 아니다"고 말했다.

학계서도 이에 동조하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조수헌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일반세균 자체는 유독한 게 아니다"며 "다만 물속에 세균이 얼마만큼 들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 교수는 "공기 중에도 일반세균이 있다. 물 떠 놓고 가만히 두면 일반세균이 검출될 것"이라며 "일반세균이 검출됐다고 해서 오염된 물이라는 등의 주장을 펴는 건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지난 2002년 스위스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 주최로 먹는 물에 포함된 일반세균이 유해한가 여부를 두고 토론회가 열렸다. 세계 각국의 물 전문가들이 모여 도출한 결론은 '일반세균은 인체 유해성과 관계가 없다'였다. 이에 따라 미국, 캐나다, WHO 등은 수질 기준에 일반세균이란 항목 자체가 없다. 유해성이 없다고 판단된 만큼 수질 기준에서 배제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굳이 현행 규정을 바꿀 필요까진 없다는 입장이다. 현 규정은 1995년 처음 제정된 것으로 이후 올 초까지 총 17차례 일부 및 전부개정 과정을 거쳤다. 홍성균 환경부 사무관은 "현 규정이 문제라는 주장도 있고 아니라는 입장도 있다"며 "반대 의견이 있는 건 알지만 이미 존재하는 규정을 일부러 없앨 정도까진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홍 사무관은 "특별한 상황 변화가 있지 않는 한 현 규정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적절하지 않은 지표는 검사 기준에서 배제하는 게 옳다"며 "현재 우리가 보유한 검사 수준에 맞춰 지표를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반세균? 물속에서 활동하는 병원균을 제외한 호기성세균이나 혐기성균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상수 시험법은 '보통 한천 배양기에 집락을 형성하는 생균을 말한다'고 정의한다.




이승종 기자 hanaru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