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 전·월세집 10채 중 4채가 '월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서울에 월세집이 크게 늘었다. 지난 10년 간 전세주택이 9% 감소하는 동안 월세집은 72% 증가했다. 이에 전체 임대차 주택에서 월세집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28%에서 2010년 43%까지 높아졌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2000년~2010년 서울시 통계 '점유 형태별 주택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0년 127만1330가구였던 전세집이 2010년 115만2714가구로 11만8616가구 감소(-9%)했다.

대신 같은 기간 월세(보증부+무보증+사글세)주택은 50만2623가구에서 86만2870가구로 36만247가구 증가했다.


월세가 크게 늘면서 지난 2000년 전체 임대차(전세+보증부월세+무보증월세+사글세) 주택 10채 중 2.8채였던 월세집 비율이 2010년에는 10채 중 4.3채로 높아졌다.

2000년~2010년 기간 중 월세주택은 일정액의 보증금과 매달 월세를 지급하는 보증부월세가 44만5236가구에서 78만2696가구로 76% 상승해 가장 많이 늘었다.


3만6370가구였던 무보증월세도 6만903가구로 2만4533가구 증가했다. 임대차기간 만큼의 금액을 한 번에 지불하는, 속칭 '깔세'라 불리는 사글세는 2만1017가구에서 1만9271가구로 소폭 감소했다.


지난 10년 간 각 구별 월세 증가율은 관악구가 223%로 가장 높았다. 2000년 당시 월세집이 2만5357가구였던 관악구는 2010년에는 8만1805가구를 기록했다.


동작구 역시 월세집이 1만8,317가구(2000년)에서 3만8,205가구(2010년)로 늘어 100%를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은평구(98%), 도봉구(94%), 마포구(92%) 순으로 월세 증가율이 높았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지난 10년 간 서울 주택가격 및 임차료가 크게 오르면서 전체 주택 중 월세집 비율이 늘어났다"며 "올해 전월세 시장 불안과 집주인의 월세 선호 현상이 확산되고 있어 월세집 증가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황준호 기자 rephwa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