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WEF평가 한국 국가경쟁력 24위…4년째 하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김진우 기자]세계경제포럼(WEF)이 실시하고 있는 2011년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142개국 중 24위를 기록, 4년째 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국은 WEF 평가에서 지난 2007년 11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이후, 2008년 13위, 2009년 18위, 2010년 22위, 2011년 24위로 4년째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스위스가 지난해에 이어 1위를 기록했고, 싱가포르가 1단계 올라 2위, 스웨덴과 미국이 1단계씩 하락해 각각 3위와 5위를 기록하였고, 핀란드가 3단계 올라 4위에 올랐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에 이어 일본이 9위(지난해 6위), 홍콩이 11위(11위), 사우디아라비아가 17위(21위), 중국이 26위(27위)를 차지했다.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미국은 1단계 하락, 3년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최근 거시경제의 취약성에 정부 효율성에 대한 우려 등 제도적 여건이 기업인에게 부정적 인식을 야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유럽의 경우 독일은 양호한 모습(6위)을 보였으나, 그리스는 최근의 상황에 대한 기업들의 부정적 인식을 반영하여 90위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선진국의 경쟁력은 정체된 반면, 신흥국가들의 경우 경쟁력의 지속적 개선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주요 신흥국의 경우, 중국은 30위 이내 순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고 남아공(54→50위)과 브라질(58→53위)은 상승한 반면, 인도(51→56위)와 러시아(63→66위)는 소폭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의 경우 WEF 평가에서는 3대 평가부문별 순위가 전년과 동일하거나 개선됐음에도 전체 순위는 하락했다. 부문별로 기본요인이 상승(23→19위)했고, 효율성 증진(22→22위)과 기업혁신 및 성숙도(18→18위)는 전년과 같았다.


12개 세부 분야별로 살펴보면, 인프라(18→9위)와 보건 및 초등교육(21→15위) 부문이 크게 상승했고, 금융시장 성숙도(83→80위)는 순위가 올랐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재산권 보호, 부패, 정치인에 대한 신뢰 등을 평가한 제도적 요인(62→65위)과 고등교육 및 훈련(15→17위)이 소폭 하락했다.


이밖에 거시경제(6→6위), 상품시장 효율성(38→37위), 기술수용의 적극성(19→18위), 기업활동 성숙도(24→25위) 등은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우 기자 bongo7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