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퀵'
AD


[아시아경제 태상준 기자] '대형 고성능 폭탄, 인상적인 것 혹은 영향력이 있는 것'. '억' 소리가 나는 대규모 제작비가 든 메인 스튜디오의 상업 영화를 지칭할 때 쓰는 '블록버스터 Blockbuster'의 사전적 의미다. 언제부턴가 '블록버스터 = 돈 많이 든 영화 = 불법 다운로드 대신 극장에서 챙겨볼 영화' 라는 삼단 등식이 관객들의 머리에 자리하게 되었다. 결국 제작비의 규모와는 관계 없이 어떤 영화든 '블록버스터'를 앞에 가져다 붙이는 것이 일종의 트렌드가 되어 버렸다. 2011년 여름 한국 극장가의 씁쓸한 현실이다.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퀵'

이번 주 개봉되는 장훈 감독('의형제')의 전쟁 블록버스터 '고지전'과 픽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블록버스터 '카 2'와 함께 여름 극장가의 본격적인 흥행 전쟁 시작을 알리는 한국 영화 '퀵'은 블록버스터의 사전적 의미에 가장 가까운 작품이다. 순 제작비만 80억 원에, 마케팅 비를 포함하면 100억 대가 훌쩍 넘어간다. '빠른' 이라는 영화 제목에 어울리게 두 시간 러닝 타임 내내 '빵빵' 터지는 액션과 코미디가 숨 쉴 틈 없이 이어진다. 연출은 '뚝방전설'과 '양아치어조'를 만든 조범구 감독이 맡았지만, 정작 '퀵'은 제작자인 윤제균 감독의 아우라가 완전히 지배하고 있는 작품이다. '두사부일체'와 ''색즉시공' 류의 슬랩스틱을 거쳐 2009년 한국형 액션 블록버스터 '해운대'로 전국 1100만 명의 관객을 넘기며 명실공히 충무로의 '넘버 1'이 된 사람. '퀵'은 윤제균 감독이 가장 잘 하는 요소들이 최대치로 발휘된 작품이다.


이야기 자체는 평범하다. '퀵'은 '퀵 서비스맨'인 기수(이민기 분)가 폭탄이 장착된 헬멧을 쓴 여자 아이돌 스타 아롬(강예원 분)를 바이크 뒷자리에 태우고 벌이는 좌충우돌기다. 음흉하게 변조된 휴대폰 속 목소리는 기수에게 휴대폰으로 폭탄을 배달할 것을 지시한다. 하나의 미션이 끝나면 또 하나의 미션이 '리셋'된다. 결국 기수는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을 잇는 고속 철도에서 의문스러운 그 남자와 최후의 결전을 준비한다. 고층건물 1층에서 대형 폭발이 발생하고, 수십 개의 LPG 통이 러시 아워 차도 위에 쏟아지며 크고 작은 폭발과 충돌도 다반사다. 어디선가 많이 보고 들은 내러티브다. 산드라 블록이 80km 시속 이하면 폭발하는 버스를 모는 '스피드'와 제레미 아이언스가 '뉴욕 형사' 존 맥클레인(브루스 윌리스 분)을 전화로 조종하는 '다이 하드 3' 등의 영화가 절로 떠오른다.

맞다. '퀵'은 '독창적인 것'이 아닌 '익숙한 것' 쪽에 방점을 찍는다. 이민기, 강예원, 김인권 등의 연기자 조합은 '퀵'이 '해운대'의 자장 안에 있음을 일깨우며, '두사부일체'나 '색즉시공'의 엽기 유머 데자뷔 신도 어렵지 않게 찾아낼 수 있다. 하지만 '퀵'은 솔직하다. 절대 다른 쪽으로 빠지지 않고 영화의 유일한 목표가 '재미'였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7광구'가 오지 않은 지금, 윤제균의 대표작은 '해운대'가 아닌 '퀵'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태상준 기자 birdca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