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G U+, "이통사 보조금 장부조작? 관행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7초

이통사 보조금 장부조작 말썽..'타 이통사도 불법 행위 만연' 언급,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듯

LG U+, "이통사 보조금 장부조작? 관행이다"
AD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방송통신위원회의 단말기 보조금 과다 지급 여부에 대한 조사를 앞두고 LG유플러스의 장부조작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이같은 불법행위가 그동안 관행처럼 이뤄져 왔다는 주장이 제기돼 충격을 주고 있다. LG유플러스외에 경쟁사들에서도 이같은 불법 행위가 벌어졌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파문이 예상된다.


LG유플러스 조직적 장부 조작 의혹=LG유플러스 관계자는 장부 조작과 관련해 "방통위의 조사에 대비하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냐"며 "그동안에도 이런 관행은 수시로 있었다"고 말했다.

예전에도 방통위의 조사에 대비해 장부를 조작해왔으며, 이같은 관행이 아무런 제재없이 조직적으로 이뤄져 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특히 지점장에게 보낸 메시지 내용에서 "지점, 대리점, 소매점, 유통점 모두 조사 대상이다"고 밝힌 점에 미뤄 지점,대리점, 소매점, 유통점 등 모든 유통점을 상대로 장부조작을 지시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영업을 총괄하는 고위급 임원의 지시가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한편 이동통신 시장의 대표적 과열 지표인 번호이동 가입건수는 지난 4월까지 안정화 추세를 보였지만 5월 들어 전월 대비 26% 증가한 94만1000건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분기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23%를 기록해 2분기에만 이통3사중 가장 많은 3만4000명의 순증을 기록했다.

◆방통위 현장조사에 비협조 요청=방통위는 5월 번호이동 가입건수 등을 모니터링한 결과 시장과열 수준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 이통사 본사와 전국 주요 지사 및 대리점을 대상으로 단말기 보조금 지급과 관련 부당한 이용자 차별행위 등이 있었는지에 대해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지난달 21일 발표했다.


LG유플러스 지점 관계자는 "방통위의 조사가 시작되기 하루 전 본사측으로부터 '방통위 조사가 시작됐습니다. 바로 내일입니다. 싸우지는 마시고 최대한 비협조적으로 응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구두 지시를 받았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이어 "본사 지역사업부로부터 해당 지역 지점장들을 상대로 관련 자료를 삭제하라는 단체문자를 수신했다"며 "사실 방통위가 현장 조사에 나섰다고 하지만 지점, 대리점을 포함한 판매점에서 관련 자료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조사 자체가) 무용지물 아니겠냐"고 귀띔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강제권이 없는 방통위의 제한적인 현장조사권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조사 이전에 미리 이통사를 상대로 '조사하겠다'고 널리 알린 점도 사실 이치에 맞지 않는 것 아니냐"며 꼬집어 말했다. 그는 이어 "공개적인 현장 조사 방침은 (이통사들에게) 굳이 솔직히 말할 필요가 없는 여지를 제공한다"며 "어떤 자료를 근거로 방통위가 단말기 보조금 과다 지급에 대한 과징금을 부여할지 알 수 없지만 이통사들의 인위적인 조작을 들춰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른 이동통신사는?=장부조작 지시가 다른 이통사에도 만연돼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장부조작 지시가 통신업계 전반의 문제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업계 관계자는 "방통위의 단말기 보조금 과다 지급 여부에 대한 현장 조사 기간에 판매점에 장부조작을 지시한 것은 국내 통신시장에 뿌리 깊은 도덕불감증의 하나에 불과하다"며 "다른 이통사의 장부조작도 충분히 가능한 얘기"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통신업계 안팎에서는 LG유플러스를 포함한 여타 이통사들의 전방위적 '단말기 보조금 실태 조작'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