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IBK기업은행 50년]반세기 ‘中企의 벗’ 모토는 ‘기업인천하지대본’ 정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IBK기업은행 50년]반세기 ‘中企의 벗’ 모토는 ‘기업인천하지대본’ 정신
AD


‘기업인천하지대본’. 故 강권석 전 기업은행장이 한 말로 기업은행 본점 건물 화강암에 새겨진 문구다. 기업이 국가 경제의 원천이고, 국가의 부를 생성하는 기본이라는 생각에서 내건, ‘농자천하지대본’이라는 말에 비유된다. 이 말은 기업은행이 나아갈 방향과 목표를 잘 설명해 준다.

“고객은 은행의 전부이자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다” 조행장이 고객 최우선 경영의 다짐을 위해 명심보감의 ‘출문여견대빈(出門如見大賓: 밖을 나서는 순간 모든 사람을 귀한 손님 섬기듯이 하라)’이라는 구절을 인용해 한 말이다.


조행장의 말처럼, 기업은행은 지난 50년간 중소기업과 더불어 많은 일을 해왔다. 중소기업의 동반자 역할을 충실히 이행한 것이다.

중소기업이 국민 경제에서의 역할과 위치는 매우 크다. 300만개 기업이 있다고 하면 그 중에서 99.8%가 중소기업이고, 대기업은 겨우 5000∼6000개에 지나지 않으며, 고용인원 수 1200만명 중 1000만명을 중소기업이 고용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자유경제 체제 유지와 신산업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한다. 매년 3만∼5만개의 기업이 창업되면서 시장에 새로운 상품, 새로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중소기업금융은 기업은행의 가장 중요한 핵심사업이다. 기업은행 전체 대출액의 82%를 중소기업에 대출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금융은 매우 어렵다. 상대적으로 리스크도 크고, 취급 비용도 많이 들고, 또 정확한 신용상태를 파악하기 힘들고, 경기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이 중소기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소기업이 5년을 넘겨 생존하는 확률은 13%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가장 어려운 부분은, 대기업으로부터 어음을 받고 그 어음이 3개월, 6개월까지 늦어져 결국 자금난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대기업이 부도라도 나면, 연쇄부도 현상에 빠지게 되는 어음제도의 문제점이 있다.


중소기업들이 자금보다 더 어려운 것은 재무구조 문제다. 재무구조가 나쁘다 보니 은행 신용평가를 낮게 받게 되고, 신용평가가 나쁘니 대출을 받을 수가 없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에 적극적인 자금 공급을 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다. 특히 경기가 어려울 때 금융지원을 더욱 확대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다른 말로는 “비가 올 때 우산을 빼앗지 않겠다”라고 표현한다.


경기가 좋으면 자금 공급을 확대하고, 경기가 나쁘면 축소하는 것은 어느 정도는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그것이 지나치면 국민 경제의 진폭을 크게 하는 역기능을 하기 때문에, 은행 역할의 공공성 중에 중요한 것의 하나인 경기 조정적인 역할을 해줘야 한다. 기업은행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면 과잉투자가 이뤄지지 않도록 하고, 경기가 불황일 때는 좀 더 과감하게 리스크를 안더라도 투자를 해서 조기 경기회복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故 강권석 전 기업은행장이 한 말 중에 일기예보론, 기업주치의론이라는 말이 있다.
일기예보론은 중소기업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경영이 지속되도록 사전에 미리 경영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기업주치의론은 기업금융에서 은행의 역할을 ‘사후조치’에서 ‘사전예방’으로 개념을 혁신한 유명한 사례다.


조 행장이 취임사에서 “기업은행을 대한민국 최고의 은행, 세계 초일류은행으로 만드는 꿈이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이 세월이 지나 어떻게 현실이 될지 지켜보자.


이코노믹 리뷰 이학명 mrm97@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