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록으로 다시 보는 ‘헌법 제·개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국가기록원, ‘이달의 기록’ 자료 온라인서비스…법 개정 문서 8건, 대한뉴스 3건, 사진 5건

기록으로 다시 보는 ‘헌법 제·개정’ 1972년 헌법공포식 장면.
AD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경옥)은 ‘이달의 기록’으로 ‘헌법 제?개정’ 관련기록물을 선정, 1일부터 나라기록포털(http://contents.archives.go.kr)에서 온라인서비스 한다.

볼 수 있는 기록물은 헌법개정 관련문서 8건, 대한 뉴스 3건, 관련 사진 5건' 등 16건이다.


내용별론 ▲헌법개정의 건(헌법)(1952년), 특별담화문(헌법개정안 공고에 즈음하여)(1972년), 대통령 공고 제94호(헌법개정안 공고)(1987년) 등 문서 8건 ▲새 헌법에 국민투표(1962년), 새 역사의 창조(1971년), 새 헌법 공포 등 대한뉴스 3건 ▲제5차 헌법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 상황 중계방송(1962년), 유신헌법 공포식(1972년), 전두환 대통령 내외 제5공화국 헌법공포식 참석 등 5건이다.

기록으로 다시 보는 ‘헌법 제·개정’ 1962년 8월23일~24일 열린 헌법공청회.


헌법관련 기록물 중 제정헌법 초안은 고려대에 소장돼 있다. 또 제1~5차 개정헌법의 필사본과 제6~9차 개정헌법 원본은 국가기록원에 있다.


소개하는 기록들 중 대한뉴스 3건은 헌법 개정 차수별로 국민투표 장면, 헌법공포식 등 헌법 개정 때 상황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첫 번째 동영상인 ‘새 헌법에 국민투표’(1962년)엔 1962년 12월17일 제5차 헌법개정안의 가부를 묻는 우리 역사상 최초의 국민투표현황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동영상인 ‘새 역사의 창조’(1972년)엔 제7차 개정헌법인 유신헌법(안)의 주요 내용들이 담겼다.


세 번째 동영상인 ‘새 헌법 공포’(1980년)엔 제5공화국 헌법(제8차 개정)의 공포식과 새 헌법안에 대한 국민투표 주요 장면들을 사실적으로 전하고 있다.


이경옥 국가기록원장은 “오는 17일 제헌절을 맞아 1948년 헌법제정 후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바뀐 ‘헌법의 제·개정’ 관련기록들을 살펴봄으로써 헌법의 역사적 의미를 되돌아볼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우리 현대사를 재조명해 볼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