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음극재 시장 NO1 될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JX NOE 합작법인 PCT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재 공장 기공식 가져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음극재 시장 NO1 될 것"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내년 전세계 소프트카본계 음극재 시장 전량을 GS칼텍스가 공급하고, 향후에는 전체 음극재 시장에서 메이저 플레이어가 될겁니다."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은 13일 구미 산업단지에서 일본 최대 에너지 기업 JX NOE(옛 신일본석유)와의 합작법인인 파워카본테크놀러지(PCT)의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재 공장 기공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허 회장은 "그간 국내 소프트카본계 음극재는 일본 히타치에서 들여왔는데 앞으로 GS칼텍스가 음극재를 본격 생산하면 이를 대체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 최대 경쟁자인 히타치를 조만간 따라잡겠다는 것.


이어 "올해 연말까지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재 공장 건설이 마무리되면, 내년부터 연산 2000t 규모의 소프트카본계 음극재를 본격 생산하며 조만간 4000t, 6000t 규모로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는 2012년 세계 리튬이차전지용 소프트카본계 음극재 시장의 100%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전체 음극재 시장에서는 10%를 차지한다.


음극재는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천연흑연 및 인조흑연으로 분류되는데, GS칼텍스는 우선 소프트카본계 음극재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 자리를 굳힌 후 다른 종류의 음극재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해 메이저 플레이어로 거듭난다는 전략이다.


허 회장은 "음극재 중 소프트카본계가 가장 만들기 어렵고 선진화된 기술"이라며 "연산 2000t 규모는 소프트카본계 전세계 시장의 100%에 해당하며, 전세계 음극재 시장에서는 10%를 차지하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하드카본, 천연흑연 등의 음극재 시장에도 진출해 음극재 시장의 리딩 업체가 되겠다는 각오다.


최근 정유시황에 대한 질문에는 "상당히 전망하기 어렵다"며 "하지만 화석연료가 당분간 에너지의 주축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는 에너지는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에너지를 스마트하게 사용하는게 중요하고 전국민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지난 1분기 기준 GS칼텍스 수출 비중이 매출의 60%를 차지했다"며 "앞으로 수출 비중을 늘려 아시아가 최대 수출 시장을 형성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원유를 전량 수입하지만 이를 정제해 수출에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게 더욱 중요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향후 신사업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구상중"이라며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미=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ss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