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북사이버전 실력차이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남북사이버전 실력차이는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검찰이 농협전산망을 마비시킨 범인으로 '북한'을 지목했다. 물증은 없지만, 북한이 7.7디도스(DDos)공격과 3.4디도스공격에 이어 금융기관까지 해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보면 남북간 사이버전은 이미 시작된 셈이지만 우리 정부의 사이버전 준비는 걸음마 단계다.

정부 관계자는 4일 "지난해 디도스공격 등을 분석해 볼 때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은 전 세계에서 상위급 안에 들어갈 정도"라며 "이에 대한 한국의 사이버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생각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북한은 이미 보안이 상대적으로 튼튼한 금융기관 전산망까지 해킹할 정도로 실력을 갖췄다. 이후 원자력발전소와 댐 등 전력시설은 물론 미사일과 함정 등 군사장비가 해킹할 경우 피해는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현재 우리나라 주요 국가기간시설은 대부분 패쇄형(스카다.SCADA)시스템을 전산망으로 사용하고 있다. 스카다시스템은 외부에서 진입을 원천봉쇄하기 위해 기관내에서만 사용하는 독립적인 망이다. 청와대, 외교부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방부도 외부용 행정안전부 서버와 내부용 서버를 나눠 사용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안심하지는 못한다. 이란도 지난 2009~2010년 별도의 서버를 운영하고 있는 원자력발전소의 제어용 소프트웨어를 공격당했다.


남북간 사이버전 준비기간에서도 북한이 한걸음 빠르다.


북한이 사이버전을 준비한 것은 1990년대 초부터다.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세기 전쟁은 알탄(탄환)전쟁이며 21세기 전쟁은 정보전쟁"이라고 선언했다. 현재 대남 사이버전은 북한군 총참모부 정찰총국 산하 110호연구소가 담당하고 있다.


국정원이 지난해 7월 디도스 사이버 테러의 배후로 지목한 이 연구소는 기존의 사이버전쟁 전담부대인 기술정찰조와 조선컴퓨터센터 등을 확대 편성한 사령탑이다. 국정원은 지난해 10월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정부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사례가 2004년 1월부터 현재까지 총 4만8000여건 있었고 지난해 한해만 9200여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가 사이버 공격을 대비하는 곳은 국가정보원 국가 사이버안전센터다. 이곳은 민관군 사이버기관을 지휘하고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외에 국방부와 경찰청도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걸음마 수준이다. 국방부는 지난해 1월 사이버사령부를 출범시켰지만 공식적인 임무는 군에 대한 공격을 방어할 뿐이다. 경찰청도 지난해 초에야 보안국 산하 보안사이버분석계를 보안사이버수사대로 확대했다. 이곳에선 인터넷상의 대남 심리전이나 친북게시물을 적발하는 것이 주요 임무다.


남북간 사이버인재 육성방법도 차이가 크다.


북한은 사이버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10대 중후반의 영재들을 선발해 체계적인 교육을 시키기 위해 컴퓨터 전문학교에 진학시킨다. 영재들이 가는 곳은 조선컴퓨터센터(KCC), 지휘자동화대학(옛 미림대학) 등 정보전을 겨냥한 맞춤형 대학들이다. 이곳을 거쳐 매년 100여명의 최상위급 해커를 배출된다.


이후 이들은 총참모부로 들어가 북한내부 전산망을 통해 충분한 연습을 거친 뒤 중국에서 실전경험을 쌓고 있다. 중국의 해킹기지는 산둥성, 푸젠성, 베이징 등이며 랴오닝성 단둥시에 있는 해킹기지는 대남 첩보와 정보 수집의 거점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우리 군은 사회에서 육성된 인재를 일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전부다.


군에서 2009년부터 모집하고 있는 IT분야 모집병은 소프트웨어 개발병, 정보보호기술병, 사이버수사병이다. IT분야 모집병의 자격요건은 대학에서 관련학과를 2년이상 수료한 사람과 IT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이다. 모집인원은 소프트웨어개발병(2009년 43명, 2010년 50명, 2011년 40명), 정보보호기술병(66명, 37명, 64명), 사이버수사병(25명, 7명, 13명)으로 아직은 소수에 불과하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