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음식점 '메뉴비용', 물가에 복병되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경기 시흥시의 A중국집은 지난 2월 자장면값을 3500원에서 4000원으로 500원, 탕수육 중(中)자를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2000원 올린 이후 두달째 이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M사 사장은 "업소의 가격표와 배달음식점 소개 정보지 등의 가격표를 이미 고친 데다 최근 밀가루, 설탕가격이 인상돼 가격표를 그대로 놔두는 게 나을것 같다"고 말했다.


물가상승을 주도해온 농수축산물가격이 3월 하반기 이후 안정되고 있지만 개인서비스가격은 꿈쩍도 않고 있다. 음식점 서비스가격의 인상을 주도한 돼지고기가격이 1월 한때 kg당 8000원에서 이달 5000원대 초반으로 큰 폭 하락하고 폭락우려마저 나온 상황과는 다른 양상이다. 한번 올려 이윤을 얻는 가격을 비용을 들여서 다시 고치지 않으려는 '메뉴비용(menu cost)'이 물가의 또 다른 복병으로 등장하고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한번 오른 가격은 경제상황이 개선돼도 '메뉴비용' 등으로 쉽게 변경되지 않는다"면서 가격변동의 경직성을 우려했다.

소비자원의 1∼3월 개인서비스요금을 분석한 결과, 제주를 제외한 15개 시도의 자장면, 설렁탕 평균가격은 지속 상승하고 있다. 자장면의 경우 서울이 3828원에서 3963원으로 석달간 3.2%오른 데 이어 부산(4.2%), 경기(3.6%), 충북(4.3%) 등 대부분이 올랐고 광주(광주 4000원→3889원 -2.8%)만 하락했다. 1인분에 4000원을 넘는 곳은 1월 3곳에서 3월에는 6곳으로 늘었다. 전북의 경우 1월 3722원에서 3월 4000원으로 7.4%가 올라 가장 높은 인상률을 나타냈다. 설렁탕도 1인분에 6000원을 넘은 곳이 대구 충남 전남 등 3곳에서 3월에는 인천 경기 전북 부산 등이 추가돼 7곳으로 확대됐다.


서민들의 물가부담이 가중되자 경남 창녕군은 아예 지난달 인상한 8곳의 중국요리집을 대상으로 행정지도에 나섰다. 이중 3개 업소는 이날부터 4000원 하는 자장면 가격은 3500원에, 4500원 하는 짬뽕은 4000원으로 500원씩 인하하기로 했다. 나머지 5곳 업소도 인상하지 않고 현재 가격을 유지 판매하기로 했다. 창녕군은 전 읍면에도 개인서비스요금이 인상되지 않도록 지도하고 적정요금으로 판매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밀가루, 설탕 등 제분관련 가격 인상이 가공식품으로 이어지고 일본산 수산물 수입중단으로 이런 현상이 고착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의 경우 밀가루와 부침가루 등 제분 관련 품목 43개의 가격을 평균 9% 올렸다. 유통업계에서는 대한제분의 제품 가격도 조만간 8~10% 정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재정위 업무보고를 통해 "돼지고기, 분유, 유제품의 무관세 물량을 조기에 도입하고 생태를 동태로 소비전환하도록 하는 등 수산물 수급안정을 유도하겠다"면서 "닭고기, 밀가루 등 10여개 품목 할당관세 추가인하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가공식품 등 주요 서민밀접품목에 대해 담합 등 불공정행위 시정을 위한 감시를 강화하겠다"면서 "행안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음식업중앙회 등 직능단체와의 간담회를 통해 자율적인 가격안정을 유도하고 외식비 등의 담합 및 편승인상 등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