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OOK] 아프리카로 달려갔다..김수환 추기경과 약속을 지키려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8초

[BOOK] 아프리카로 달려갔다..김수환 추기경과 약속을 지키려고
AD

[아시아경제 박현준 기자] '세상을 보여줄게'(amStory)'
주천기 지음/ amStory 펴냄/ 1만3000원


아프리카 케냐 나이로비의 빈민촌으로 들어갔다. 좁은 비탈길 옆으로 녹슨 양철과 진흙으로 만든 작은 집들이 다닥다닥 붙은 가난한 거리였다. 주천기 가톨릭대 교수(서울성모병원 안眼센터장)는 2009년 11월말, 그렇게 훌쩍 아프리카로 봉사 활동을 떠났다. 평생 연구와 성공을 위해 달려왔던 주 교수였다. 의대, 인턴, 레지던트, 전공의, 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바로 앞에 매달린 목표를 좇은 삶이었다.

케냐의 환경은 눈에 해로웠지만 안과의사는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3800만명 케냐 인구 가운데 안과의사는 83명이었다. 집에서 기르는 가축의 분비물이 건조한 모래 바람과 뒤섞여 케냐 어린이들의 눈을 찔렀다. 빈민가를 다니며 그런 아이들 중에서 치료 가능한 아이들을 골라 수술에 들어갔다.


막상 수술에 들어갔지만 도구는 더욱 형편없었다. 수술 중 피를 멈추려고 현지 의사에게 "지혈 기구를 달라"고 했다. 현지 의사가 "파이어(fire)"라고 하자, 간호사가 불에 달군 쇠꼬챙이를 건네줬다. 불로 지져 지혈을 하란 것이었다. 수술 내내 아이들은 비명을 질렀지만 잘 참아줬다. 눈을 뜨고 싶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며칠 후 아이들의 붕대를 차례로 풀었다.

"자, 이제 다들 천천히 눈을 떠봐라, 보이니?"
"아....보여요. 하늘이 파래요. 나무가 보여요. 엄마, 엄마 맞아요?"


주 교수는 8일 한 사람과의 만남이 자신의 인생관을 이렇게 바꿨다고 기자에게 말했다. 의료 봉사 역시 그 분께 드린 약속을 지킨다는 의미였다. "한국 사회가 경쟁이 심하잖아요. 이런 사회에서 봉사란 건 나이들고 여유있을 때나 하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나 그 분이 돌아가시자, 미뤄서 될 게 아니란 걸 알았습니다"


주 교수에게 "세상을 밝히는 의사가 되라, 등불이 되라"고 부탁하셨던 그 분은 선종 2주년이 지난 고(故) 김수환 추기경이다. 주 교수는 선종 후 고인의 안구적출 수술을 집도했다. 김 추기경이 남긴 눈은 2명의 환자뿐 아니라 주 교수의 마음도 뜨게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김 추기경은 병원을 찾아올 때 다른 환자들과 똑같았다. 보통 사람처럼 예약하고 차례를 기다렸다. 예약 환자가 김 추기경이란 걸 모르고 있다가 진료를 했다. 유머도 많아서 모자를 쓰고 순서를 기다리다가 다른 환자들이 "김수환 추기경님과 닮으셨다"고 말하면 본인이 아닌 척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고 한다.
그런 고인이 선종을 하기 몇년 전, 주 교수는 눈을 진찰한 뒤 "큰 이상은 없지만 눈을 너무 혹사하셨습니다. 소중하신 분이니 건강에 더 조심하셔야죠"라고 말했다. 김 추기경은 뜻밖에 "죄스럽습니다"고 답했다.


"죄스럽다니요?"
"이 눈도 다 제가 살아있는 동안만 잠시 제게 맡겨두신 것인데 말이에요"


추기경은 "주 교수께서 제 눈을 특별히 잘 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제가 두고 갈 눈을 누군가 받아서 세상을 다시 볼 수 있다면, 얼마나 보람된 일이겠습니까?" 그리고 주 교수에게 부탁했다. 앞으로 눈을 필요로 하는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빛을 찾아주는 일에 앞장서 달라고. 주 교수는 그 뜻을 거역할 수 없다는 걸 예감했다고 한다.


추기경이 주 교수에게 남긴 등불은 파문을 그리며 번졌다. 지난해 10월 홍영선 서울 성모병원장이 주 교수에게 도움을 구했다. 말기 암환자가 있는데, 아들과 함께 두산 베어스의 야구경기를 보는 게 소원이라는 거였다. 그래서 두산 베어스의 김경문 감독의 눈 수술을 집도한 적이 있는 주 교수에게 부탁한 것이었다. 당시 두산은 플레이오프 3차전을 앞두고 있어 구단과 선수 모두 신경이 날카로울 때였다. 그러나 환자를 위해 염치를 무릅쓰고 도움을 구한 주 교수에게 김 감독은 흔쾌히 응했다.


그해 10월10일, 플레이 오프 3차전날 두산 구단의 배려로 1루 날개석에 환자와 아들이 앉았다. 그 날은 경기가 어렵게 풀려 5시간을 넘게 경기를 끌었다. 동점으로 연장전까지 이어졌고, 11회 초에는 삼성에 2점을 내줘 패색이 짙어졌다. 주 교수는 속으로 두산 김진 사장과 김경문 감독에게는 미안함이, 환자와 아들에게는 걱정이 들었다고 한다. 실망을 안겨주지는 않을지.


그런데 11회 말, 이종욱 선수를 시작으로 다섯 타자가 모두 안타 등으로 출루하면서 내리 3점을 뽑아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 환자와 아들은 환호를 지르며 기뻐했다. 경기가 끝나고 그들은 선수들을 라커룸에서 만나 가장 좋아하는 이종욱 선수와 사진도 찍었다. 주 교수는 그렇게 환자에게 희망을 선물할 수 있었다.


주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어떻게 해야 최고의 의사가 될 수 있을까보다는 어떻게 해야 남에게 가장 많이 베푸는 삶을 살 수 있는지를 고민합니다." 주 교수는 최근 이런 고백과 함께 김 추기경과의 인연을 담은 책 '세상을 보여줄게'(amStory)를 펴냈다. 인세는 전부 생명존중기금으로 기부된다.

[BOOK] 아프리카로 달려갔다..김수환 추기경과 약속을 지키려고




박현준 기자 hjunpar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