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 최초, 우리나라 지하수에서 옛새우 신종3종 발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세계 최초로 우리나라 지하수에 서식하는 옛새우 3종이 발견됐다. 아울러 우리나라 지하수에는 선충이나 곰벌레 등 다양한 미기록종이 서식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발견된 지역은 충청북도 옥천, 경북 영주, 경기 여주 등이다.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종천)은 지난해 '전략지역 생물종 다양성 조사 사업'을 통해 지하수에 서식하는 옛새우 신종 3종을 세계 최초로 발굴하고 이를 SCI급 국제 학술지 발표를 통해 공식 등재하는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 옛새우는 지구형성이론의 하나인 대륙이동설의 중요한 생물학적 증거로 사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160여종이, 인도를 제외한 아시아에는 국내 4종을 포함한 26종만이 보고됐다.


이번 연구결과 처음 알려진 옛새우는 고하목 파라바티넬리대과(Parabathynellidae)에 속하는 종이다.

세계 최초, 우리나라 지하수에서 옛새우 신종3종 발견
AD

충북 옥천, 경북 영주, 경기 여주 등 발견된 지명에 따라 각각 Allobathynella youngjuensis (알로바티넬라 영주엔시스), Allobathynella okchunensis (알로바티넬라 옥천엔시스), 그리고 Eobathynella yoejuensis (에오바티넬라 여주엔시스)로 명명될 예정이다.


한편 우리나라에 지하수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국내 지하수에 노벌레, 옆새우, 등각류를 포함한 갑각류 외에 원생동물, 편형동물, 선충, 곰벌레, 환형동물, 물응애, 곤충 등 다양한 미기록 생물종들이 서식하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생물들은 지하수에 유입되는 유기물질의 분해를 통해 수질정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알려졌다고 자원관은 설명했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지하수는 무척추동물 미기록종의 보고"라면서 "이를 이용한 환경산업의 확대방안도 함께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