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계 대대적 투자···현대차 12조원·SK도 늘리기로(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2초

정몽구 회장 전년 대비 15% 증가 밝혀
최태원 회장도 지난해 보다 늘릴 것 언급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채명석 기자, 이윤재 기자] 재계가 새해 벽두부터 대규모 투자 계획을 잇달아 발표하는 등 글로벌 영토 확장을 위한 공격 경영에 힘찬 시동을 걸었다.

2011년 신묘년, 21세기 두 번째 10년의 출발점에 선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투자와 고용으로 한국 경제의 글로벌 도약을 이끌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5일 재계에 따르면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삼성동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기자들에게 “올해에는 총 15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10조5000억원)에 비해 10.5% 늘어난 것이다.

정 회장은 또 “올 상반기에 현대제철 고로 3호기 건설에 착공하는 등 올해 투자가 많이 계획돼 있다”며 “새해에 투자를 늘려서 일자리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지지난해 6000여명을 신규 채용한 바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이날 투자와 채용 규모를 지난해 대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지난해보다는 늘릴 것”이라고 대답했다. SK는 지난해 모두 8조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했으며, 2000명의 인원을 채용했다.


양 그룹은 조만간 공식 투자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삼성그룹은 사상 최대 규모인 43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채용 규모도 사상 최대인 2만5000명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투자 규모는 지난해 36조5000억원보다 18%, 채용 규모는 2만2500명을 뽑은 작년보다 11% 많은 수준이다.


구체적으론 시설에 29조9000억원, 연구개발(R&D)에 12조1000억원, 자본 분야에 1조1000억원을 각각 쏟아 붓는다. 장기 사업에 대한 투자라는 점에서 삼성의 공격 투자는 향후 10년을 넘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관측된다.


LG그룹도 지난달 20일 역시 역대 최대 규모인 21조원(시설 17조3000억원, R&D 4조7000원)의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이는 지난해 18조8000억원보다 11.7% 늘어난 규모다. 특히 그룹 창립 이래 연간 투자액이 2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R&D 투자가 4조원을 넘어선 것도 미래 기술 확보라는 점에서 삼성과 궤를 같이 한다.


포스코는 오는 13일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정준양 회장 주재로 CEO포럼을 열고 구체적인 투자 규모를 발표한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해외 철강과 자원개발, 그룹 동반성장 분야 등의 투자에 주력할 방침인 가운데, 채용 규모도 지난 해(5520명)보다 많은 6300명을 공채한다는 계획이다.


롯데그룹도 올해 인수합병(M&A) 지분 투자를 제외한 국내외 시설 투자에만 5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는 지난 해보다 30%가량 많은 규모다. 채용도 9700여명으로 최소한 지난 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GS그룹은 지난 2005년 그룹 출범 이후 매년 2조원 이상을 투자한 행보를 올해도 이어갈 전망이다. GS칼텍스는 지난 4일 고도화 정유시설에 1조1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 현대중공업그룹은 작년 투자액(2조원)보다 25% 증가한 2조5000억원을, 두산그룹은 친환경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등에 작년 대비 28% 증가한 1조6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과 LG가 사상 최대 투자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다른 그룹들도 투자 및 채용 확대에 나설 것"이라면서 "투자와 채용 확대를 통한 대기업들의 공격경영 움직임이 국가 경제와 산업계의 올해 분위기를 이끌 화두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정일 기자 jaylee@
채명석 기자 oricms@
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