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케이블-지상파 재전송 분쟁, 진전 없이 '난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지상파, 케이블 가입자당 월 280원 수신료 지급 고집…협상 여지 없어 '파행'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방송통신위원회가 지상파 방송사들과 케이블 방송 업체들간의 재전송 분쟁을 조정하기 위해 전담반까지 구성해 운영하고 있지만 협상에 진전을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내년 1월 전담반 운영이 마무리 되면 지상파 방송사와 케이블 방송 업체들의 전면전이 다시 시작될 전망이다.

케이블 방송 업체 씨앤앰의 최선호 부사장은 29일 "지난 10월부터 방통위, 지상파방송사, 케이블 방송 업체들이 함께 모여 전담반을 구성해 재전송 문제를 논의하고 있지만 전혀 진전이 없었다"며 "지상파 방송사들이 케이블 가입자당 월 280원의 수신료 지급을 고집하고 있어 협상의 여지조차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케이블 방송 업체는 유료 가입자에게 실시간으로 지상파 방송을 전송해왔다. 난시청 지역 시청자들을 상대로 한 수신 보조행위를 이유로 지상파 방송사에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케이블 방송 업체들을 상대로 소송까지 제기했다.

이후 케이블 방송 업체들이 지상파 방송사들의 광고를 송출 중단한 뒤 지상파 방송 자체를 재전송하지 않겠다며 집단행동에 나서자 방통위가 전담반을 구성, 중재에 나섰다.


현재 지상파 방송사는 케이블 방송 업체들에게 가입자당 월 280원의 수신료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케이블 방송 업체들은 수신료가 비싸다며 절반 이하로 인하해야 한다며 협상에 나섰다.


주요 케이블 방송 업체들은 약 400만~500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각 케이블 방송 업체당 월 10억원 이상, 연간 최소 130억원 이상을 수신료로 내야 하는 셈이다.


최 부사장은 "협상이 이뤄지려면 서로 양보를 해야 하는데 지상파 방송사는 월 280원을 고집하고 있고 케이블 방송 업체들은 280원은 너무 과하다는 입장"이라며 "계속 답보 상태로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상파 방송사는 월 280원 이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IPTV 업체들이 지상파 방송사와 재전송 계약을 하면서 케이블 방송 업체에 재전송료를 더 싸게 줄 경우 IPTV 업체의 수신료도 인하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기 때문이다.


결국 케이블 업체에 재전송료를 낮춰줄 경우 IPTV 역시 재전송료를 낮춰야 해 실익이 없다. 때문에 서로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최 부사장은 케이블 방송 업계의 내년 가장 큰 이슈로 '통신'을 지목했다. 케이블 방송 업체들은 전국에 걸쳐 있는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망에 와이파이(무선랜) 장비를 붙여 와이파이망 구축을 검토 중이다.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을 통한 가상망이동통신사업자(MVNO) 진출도 케이블 방송 업계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이동통신사가 합병을 통해 휴대폰, 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 IPTV를 결합해 서비스하는 것처럼 케이블 업계가 공동으로 4가지 상품을 결합해 판매할 경우 시너지가 크다는 것이다.


최 부사장은 "전체 케이블 방송 업체들이 함께 나설 경우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와 같은 제품도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 부사장은 올해 씨앤앰 가입자의 43%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내년에는 전체 가입자의 50% 이상을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시킬 계획이다.


최 부사장은 "지난 2007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1000억원 이상을 디지털 전환에 투자해왔다"면서 "내년에도 900억원 이상을 투자해 가입자의 50% 이상을 디지털 전환시키고 매출 55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