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코레일의 용산역세권 사업재편..삼성물산 입장은?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토지대금 미납으로 좌초위기에 빠진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역세권)개발 사업에 대해 토지주이자 출자사인 코레일이 건설투자자 대표사인 삼성물산에 손을 떼라고 요구하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코레일은 특히 사업이 지연되는 이유가 이번 개발사업을 실질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용산역세권개발 주식회사 AMC의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이를 주도하고 있는 삼성물산이 건설 주간사에서 빠져야 한다는 논리다.

이에대해 삼성물산측은 시행사인 드림허브 PFV의 용역회사에 불과한 AMC를 부각시키며, 삼성측에 책임을 떠넘기려고 한다고 하소연했다. 또 "건설투자자 입장은 건설사들만의 지급보증을 못받아들이겠다는 것 뿐"이라면 삼성물산 건설부문 관계자는 말했다.


코레일은 19일 오전 11시 서울시 세종로 광화문빌딩 12층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용산역세권개발주식회사(AMC)의 전면적 구조개편과 외부 건설투자자 문호 개방을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더불어 코레일 측은 "다른 모든 출자사들도 사업정상화를 위해 이같은 내용에 협조해 주길 바란다"면서 "SH공사(지분4.9%)가 서울시를 대리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데, 서울시가 서부이촌동의 토지주이자 한강르네상스라는 구체적 정책목표를 가지고 있듯이 그에 상응하는 역할을 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발표를 한 코레일은 오는 20일부터 계약해지 권한을 발동할 수 있는것을 추이를 보며 당분간 보류하겠다고 전했다. 향후 코레일은 주총을 통해 사업을 재편할 계획이다.


◇코레일 "문제는 삼성이 영향력 장악한 AMC"


코레일은 일단 삼성물산이 전체 자본금 1조원 중 6.4%인 640억원에 불과한 금액을 출자해 놓고는 그보다 지분율이 높은 출자사들에 비해 배타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건설 컨소시엄의 대표사 지위를 활용해 페이퍼컴퍼니인 시행사 드림허브PFV의 이사진 10명 중 3명이 삼성그룹 관계자라고 전했다.


더불어 시행사로부터 위탁을 받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용산역세권개발 주식회사 AMC의 경영권을 삼성이 독점하면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펼치고 있다는 주장이다. AMC는 공정거래위원회에 삼성물산 계열사로 등록돼 있다.


김흥성 코레일 대변인은 "누구나 용산역세권 사업이 파국으로 치닫는걸 원치 않는다"면서 "책임을 못지겠다면 AMC 구조개편과 건설투자자의 대표역할을 삼성은 포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을 포함해 기존 17개 건설사들은 서로가 보증문제로 얽혀있고, 삼성이 대표사로 지급보증을 못하겠다고 하니 이야기를 꺼내지 못하는 것"이라면서 "삼성물산이 포기하게 되면 나머지 16개 건설투자자들은 시공권을 보증하는 만큼 코레일이 제시하는 안에 동의하리라 본다"고 내다봤다.


더불어 이미 이번 사업의 입찰당시 경쟁 컨소시엄으로 들어왔던 곳들이나, 정보통신업체 등 지급보증하고 시공권 따내고 싶어하는 몇몇 업체들이 있다고도 전했다.


◇삼성건설 "AMC 거론은 말도 안된다..건설사만 지급보증에 반대하는 것일 뿐"

반면 삼성물산 건설부문 측은 AMC는 PFV의 용역회사일뿐, 자본금 30억짜리에 삼성물산의 지분(45.1%)이 가장 많다고 실질적 주간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특히 AMC 구성 당시 코레일과 롯데측에서 이번 사업이 건설분야인 성격이 짙어 경험상 노하우가 있는 삼성물산측에 주도권을 맡겼다고 설명했다.


삼성건설 관계자는 "일단 건설투자자로서 지급보증을 못받아들이겠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었다"면서 "규정을 준수하면서 이사회에서 내부적으로 이야기를 나누고 사업이 개선되는 과정을 함께 모색했어야 했다고 본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서울시도 역할해야..그렇다고 공공개발은 아니다"


기자간담회에서 코레일은 서울시가 제대로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사업성 향상을 위해 용적률 상향을 고려하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최근 국토부나 서울시 측에서 언급한 '공공개발'은 아니라고 일축했다.


김 대변인은 "삼성이 빠지고 공기업 주도로 사업이 가고, 코레일이 국민기업차원에서 서울시에 규제완화를 요구한다면 사업성이 좋아질 가능성도 있다"면서 "특별결의를 통해 주총을 개최하고 새판을 짠 다음 오는 10월달쯤 역세권개발법이 발효되면 이 사업을 반드시 끌고 가야한다는 의지를 가지고 여러 대안이 생길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31조원을 투입해 서울 용산구 한강로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 이촌동 일대의 56만6800㎡에 150층 높이의 랜드타워를 비롯해 업무, 상업, 주거 시설이 포함된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려는 계획이다.


시행사 드림허브PFV의 최대주주는 지분 25%를 보유한 코레일이다. 삼성물산의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지분은 6.4%이며 삼성생명과 호텔신라 등 그룹 계열사 지분을 합하면 14.3%다. 이밖에 롯데관광개발 15.1%, KB자산운용 10%, 푸르덴셜 7.7% 등을 보유 중이다.


오진희 기자 valer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