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산림과학대회 세계총회 8월23일 개막

산림·환경·경제전문가, 각료 등 3000명 서울 코엑스…28일까지 2100여편 논문 발표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산림분야 세계 최대 학술행사인 제23차 세계산림과학대회(IUFRO 서울총회)가 다음달 23~2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23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이번 총회엔 여성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오스트롬 교수를 비롯, 환경·산림·경제분야의 세계적 석학 4000여명이 모여 ‘기후변화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산림의 역할과 지구촌공동체의 협력과제’를 내놓는다.

세계산림과학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최완용 국립산림과학원장)는 행사에 ▲엘리노어 오스트롬(Elinor Ostrom) 인디애나대 교수 ▲피터 쇼 애슈턴(Peter Shaw Ashton) 하버드대 명예교수 ▲고은 시인 등 110여개국, 3000여명의 산림·환경·경제전문가와 산림관련 정부각료들이 참석한다고 23일 밝혔다.


대회에선 산림보존, 산림이용, 기후변화대응을 주제로 한 2100여편(9개 주제, 30여 분야)의 학술논문이 발표된다. 이는 산림과학대회 사상 최다인원이 참가하고 발표논문도 가장 많은 것이다.

학술적 토론방향을 제안하는 기조연설자는 오스트롬 교수를 비롯한 환경·산림·경제 분야의 세계적 석학 5명이 맡는다.


우리나라를 처음 찾는 오스트롬 교수는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공동체의 역할’이란 기조연설에서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공유자원인 산림을 보존하는 최고해법은 지구촌공동체의 자율적 협력, 지역별 자치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열대림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에슈턴 교수는 ‘열대림의 재난기록 연구’란 기조연설을 한다. 그는 “인류에게 지구온난화란 최악의 재앙을 낳은 아마존과 아프리카 열대림의 파괴역사에 마침표를 찍고 지속가능한 열대림의 이용대책을 지구촌공동체 차원에서 세울 것을 촉구한다.


또 고은 시인이 ‘숲은 짧고 사막은 영원하다’, 프란시즈 제이 세이모어 세계임업연구센터 원장의 ‘산림, 기후변화, 공동체의 진일보’, 호세 호아킨 캄포 열대농업연구 및 고등교육센터 원장의 ‘지속가능한 산림을 조성하기 위한 지역과 계층 통합’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산림의 비전을 엿볼 수 있는 '세계산림과학전시회'도 열린다. 오대산, 설악산 등 8개 산림코스에 참가자 모두가 참석하는 학술탐사프로그램도 열려 우리나라의 아름다움과 선진 산림이용사례가 소개된다.


사전행사로 주요 참석자들이 참가해 정이품송 후계목 1본과 금강송 후계목 4본 등 나무를 심는 기념식수행사도 서울 숲에서 갖는다.


최완용 세계산림과학대회 조직위원장은 “지구촌 최대 녹색축제인 대회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꾀하는 산림 및 임업의 중요성이 세계인들에게 다시 한 번 강조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인정한 세계 최단기 녹화성공신화를 가진 대한민국의 녹색성장 국가브랜드를 G20 서울정상회의에 앞서 세계인들에게 알려 국가인지도에 이바지 하겠다”고 덧붙였다.


[사라지는 산림 얼마나 되나?]
브라질 환경부가 공식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7년 아마존의 산림파괴면적은 1만1224㎢에 이른다. 이는 표준규격 축구장(105m×68m=714㎡. 0.007㎢)의 160만여 개에 해당하는 넓이다. 하루 4392개, 1시간당 183개, 1분당 3개의 축구장 넓이만한 아마존 밀림이 매일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남산 넓이(293㎢)의 17배에 이르는 5000㎢의 산림이 해마다 사라지고 있다. 매일 축구장 13개 넓이만큼의 산림이 사라지는 셈이다.


왕성상 기자 wss4044@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