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S칼텍스, 3번째 '지상유전' 9월 가동..고도화율 국내 1위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GS칼텍스(대표 허동수)가 지난 2007년부터 야심차게 추진해 온 3번째 고도화설비 No.3 중질유분해시설(HOU)이 9월 상업 생산을 시작한다. '지상 유전'으로 불리는 No.3 HOU 가동이 본격화하면 GS칼텍스는 국내 정유사 중 가장 높은 28.7%의 고도화비율을 갖추게 된다.


GS칼텍스는 22일 No.3 HOU인 감압잔사유 수첨탈황분해시설(VHCR)의 기계적 준공을 완료하고 시운전을 거쳐 9월 본격적인 상업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용수, 전기, 스팀 등을 생산ㆍ공급하는 유틸리티 시설은 지난달 말 시운전을 완료하고 정상 가동 중이다. 핵심 설비인 감압잔사유 수첨탈황분해시설을 비롯해 황회수시설, 수소제조시설, 저장 및 출하시설 등은 이달 말부터 시운전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08년 10월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감압잔사유 수첨탈황분해시설은 총 투자비 2조6000억원, 부지면적 61만5000㎡(약 18만6000평), 공사 기간 21개월이 소요된 대규모 프로젝트다. GS칼텍스 창사 이래는 물론 국내 석유 업계에서 단일 규모로는 최대 규모다.

국내에는 처음 도입되는 설비이며 세계적으로도 7번째 적용되는 최첨단 기술이다.
기존 벙커C보다 값싼 원유 정제 과정의 찌꺼기인 초중질유를 원료로 고부가가치 청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No.3 HOU로 값싼 중질원유의 도입 비중을 높일 수 있어 원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물론 값싼 초중질유를 값비싼 친환경 경질 제품으로 전환, 판매할 수 있어 연간 6000억원 이상의 추가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GS칼텍스는 No.3 HOU 완공에 따라 고도화 처리 능력이 기존 일일 15만5000배럴에서 21만5000배럴로 늘어 국내 최대 규모로 올라서게 된다. 고도화비율도 기존 20.7%에서 28.7%로 늘어나 국내 1위가 된다. 현재 국내 정유사의 고도화비율은 SK에너지 15.4%, S-Oil 25.5%, 현대오일뱅크 17.4% 등이다.


GS칼텍스가 이번 감압잔사유 수첨탈황분해시설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바로 환경과 안전 분야.


모든 배관이나 시설을 지하 매설 없이 지상으로 설치함으로써 토양오염 등을 100% 방지했으며 폐수 처리 시설, 대기오염 방지 시설을 법적 허용 기준치 보다 낮춰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했다. 환경오염 방지 시설에 투자한 비용만 3700여억원에 달한다.


안전을 위해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기법을 적극 도입했다. 모든 근로자가 최소 8시간 이상 특화된 안전 교육 및 안전 체험 교육을 이수토록 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에는 설비 모듈화 공법을 최대화했다. 대부분의 설비를 외부에서 제작해 공사 현장으로 이송, 조립, 설치하는 공법이다. 과거 공사 현장에서 복잡하게 이뤄졌던 설비 설치 작업을 외부 작업장에서 진행해 사고 발생 비율을 최소화하고 공사 기간도 계획 대비 2개월 이상 단축하는 결과를 낳았다.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은 "변화하는 석유 시장에 발 빠르게 대응해 아시아에서 배럴당 수익성이 가장 높은 종합 에너지 회사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곳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전량 해외로 수출돼 연간 6000억원 이상의 수출 증대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혜원 기자 kimhy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