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S그룹, 그린 비즈니스가 새 먹거리

신재생에너지·전기차 등에 집중.. 글로벌경영 박차


[아시아경제 황상욱 기자] LS그룹은 '그린 비즈니스(Green Business)'를 미래형 사업으로 잡고 투자를 확대하며 경쟁력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룹차원에서 신사업 분야와 연구개발(R&D) 설비투자,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에 많은 자원을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지능형 전력망), 신재생 에너지, 전기자동차 핵심 부품 및 자원재활용 사업 등을 미래 성장을 이끌 핵심사업으로 정해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를 할 계획이다.


구자홍 ㈜LS 그룹 회장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국내 최초 해저케이블 공장 가동, 스마트 그리드 분야 진출 등 미래성장을 위한 사업기반을 다져 왔고 전기자동차 핵심 부품과 국내외 스몰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성장을 대비한 핵심역량을 강화했다"며 "올해도 그린경영과 글로벌 경영기조를 유지키로 했다"고 강조했다.

계열사별로는 LS전선이 풍력발전용 전선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이 분야 글로벌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으며 지능형 송전 운영 솔루션 등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스마트 그리드 분야에 대한 투자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LS전선은 국내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해저케이블과 초전도케이블 사업의 확대, FTTH(Fiber to the Home·광가입자망) 및 HFC(Hybrid Fiber & Coax·초고속 유선망 통신) 사업 등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LS산전은 지난 1986년 국내 최초로 태양광 발전사업을 시작한 '태양광 발전의 원조'로 2007년에는 20년간의 노하우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한 바 있으며, 현재 청주공장에 연간 40MW 규모의 태양광 모듈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다.


특히 LS산전은 지능형 전력망으로 불리는 '스마트 그리드' 분야의 대표주자로, 제주도에 건설 계획인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 시범단지 조성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한국스마트그리드 협회에 참여하고 있는 LS산전은 LS그룹의 그린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한국의 녹색성장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이와 함께 LS산전은 전자태그(RFID), 전력용 반도체 모듈 및 미래형자동차인 전기자동차용 전장부품 등 신사업 비중을 현재 1% 미만에서 2015년에는 30% 이상 수준으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


국내 유일의 동제련 회사인 LS-Nikko동제련은 2004년 페루 마르코나 동광산 지분 15%를 인수한 이후 콘데스타블, 리오블랑코, 볼레오 광산 투자 등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모멘텀을 찾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원재생사업(Recycling Business)을 신사업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다.


LS엠트론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와 풍력발전설비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인 울트라 캐패시터(UC·Ultra-Capacitor)의 사업성장에도 큰 기대를 하고 있다. 특수 동박 및 FCCL(Flexible Copper Clad Laminate·연성회로기판) 사업 등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 투자를 집중하고 있기도 하다.


LS의 에너지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E1은 친환경에너지인 LPG산업의 활로 모색을 위해 인도네시아 등 해외시장 개척하고 있으며, 신재생 에너지분야에도 다각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LS 관계자는 "이미 진출한 해외사업의 안정화와 수익창출을 통해 글로벌 경영을 가속화하고 중국, 베트남, 인도, 러시아, 유럽을 잇는 네트워크 완성을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황상욱 기자 ooc@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