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어린이집 보육비 월 33만 2000원

5년전 보다 24% 상승..실제 부담은 16만 8000원
보육교사 평균 임금 126만원..시설 등 여전히 열악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부모의 취학 전 아동 어린이집 총 납부 금액이 33만 2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4년 조사 때 보다 24%가 늘어난 것이지만, 부모들의 어린이집에 대한 만족도는 같은 기간 소폭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25일 지난해 3∼6월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2347가구와 영유아를 양육하는 2554가구, 어린이집 3201개소를 대상으로 보육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어린이집 납부금액은 가구 소득의 12.9%로 지난 2004년 조사 당시 소득 보다 24.3, 소득 대비 비중 역시 2.1%포인트 높아졌다. 미취학 영유아를 자녀로 둔 가구는 보육교육비가 월 33만5000원이었고 가구소득 대비 14.1%나 됐다.


서문희 육아정책연구소 박사는 "가구소득이 낮아질수록 보육 교육비용 자체는 적어지지만 가구소득 대비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아져 저소득층의 비용부담이 컸으며 가구당 아동 수에 따라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취학 전 어린이의 40%가 이용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3.68점으로 지난 2004년 조사 당시의 3.58점보다 약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상담, 교육내용, 안전관리, 급·간식 관리, 교재교구 등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아졌고 비용, 주변환경, 부모참여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이런 가운데 어린이집을 이용할 때 부모가 실제 부담하는 비용은 월 평균 16만8000원으로 5년전 16만4000원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5년 전보다 보육료는 2만2000원 감소한 대신 현장학습비, 특기활동비 등 추가비용이 2만6000원 늘어났다.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어려움이 커졌다.


민간 어린이집의 84.6%, 가정 어린이집의 83.3%가 종사자 인건비나 보육환경 개선비도 대지 못할 정도의 재정적 어려움을 호소했고, 원아 모집이나 종사자 채용도 예전보다 힘들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육교사 역시 월 126만원의 박봉에 시달리고 있었다. 가정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는 102만원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권덕철 정책관은 "보육료를 지원받은 경우와 지원받지 못한 경우의 만족도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며 "앞으로 중산층까지 보육료 전액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조태진 기자 tjj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