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잡스 '이번엔 모바일 광고 혁신'

[아시아경제 이선혜 기자] 새로운 발상과 편리한 기능, 그리고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모바일 기기 시장을 선도해온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이번엔 모바일 광고 시장의 혁신을 꾀하고 있다. 기존 인터넷 상에서 접했던 광고와 차별화를 꾀한 '아이애드(iAd)'를 선보인 것.


정보기술(IT) 업계의 성공 신화로 통하는 잡스가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도 강자로 군림할 수 있을지 시장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8일(현지시간) 주요외신에 따르면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쿠퍼티노 본사에서 아이폰 운영체제(OS) 새 버전(4.0)을 공개하면서'아이애드'를 소개했다. 아이애드는 일종의 애플리케이션(앱) 광고 시스템으로 오는 6월 출시될 모든 아이폰 OS 4.0에 설치된다.


이날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 사용자들의 일일 앱 사용시간이 약 30분인 것을 감안하면 일일 약 10억 개의 광고를 내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아이애드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구글의 검색 기반 광고는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며 "모바일 이용자들은 서치엔진보다는 앱을 통해 인터넷을 접속,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하기 때문에 광고 역시 기존의 웹 광고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잡스가 이번에 선보인 광고 시스템은 기존의 인터넷 상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된 검색 기반이 아니라 앱에 탑재되는 형태다. 잡스는 "광고수익의 60%를 앱 개발자들에게 분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이애드의 운영은 지난 1월 인수한 콰트로 와이어리스를 통해 운영될 방침이다.


시장의 반응은 일단 긍정적이다. 아이애드가 모바일 광고시장을 크게 성장시키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모바일 광고업체 애드몹의 제이슨 스페로 부사장은 "모바일 광고의 지평을 크게 확장했다"며 "한두 가지 예외사항은 있지만 아이폰 광고처럼 고도의 기술력에 세련된 스타일을 살린 광고를 본 적이 없다"고 평했다.


업계 전문가는 모바일 광고 시장의 판도 변화를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현재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애플의 비중은 높지 않다. IT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지난해 콰트로 와이어리스의 시장 점유율은 7%로, 구글이 합병을 추진하고 있는 애드몹(11%)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구글과 애드몹이 합병할 경우 시장점유율은 총 21%가 된다.


하지만 애플이 전망한대로 모방일 사용자들이 앱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경우, 애플의 광고 시장 점유율은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애플이 보유한 시장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다. 애플리케이션 업체 버즈드의 니할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혁신적인 광고 기능을 보유한 업체가 있긴 하지만 애플처럼 규모나 시장 지배력을 지닌 회사는 없다"며 "애플은 20만개의 앱 개발업체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광고 시행 다음날 광고 노출 빈도수가 수십억회에 달할 수 있는 회사"라며 광고 시장의 변화를 내다봤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이선혜 기자 shlee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