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경우의 PGA레슨] 2. 스탠스의 '황금비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나경우의 PGA레슨] 2. 스탠스의 '황금비율' 드라이버 샷의 스탠스 넓이와 볼 위치.
AD


[아시아경제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스탠스는 클럽에 따라 또는 공이 놓인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평지에서 스윙을 하는 경우라면 5번 아이언을 기준으로 어깨 넓이가 적당하다. 스탠스 간격은 그러나 개인의 유연성에 따라 편차가 있다. 몸이 유연한 편이라면 양발을 좀 더 넓게 벌려 파워를 증대시켜야 하고, 그 반대라면 양발 간격을 좁혀 몸통 회전을 유연하게 만드는데 초점을 맞춘다.


또 타이거 우즈처럼 키가 크고 상체가 마른 체형이라면 스탠스를 넓히고, 크레이그 스테들러처럼 키가 작고 상체가 두꺼운 체형이라면 약간 좁게 서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내가 편하면 가장 이상적인 스탠스다. 자신에게 적합한 스탠스가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른다면 평상시 자기 발걸음의 보폭만큼 벌려주면 된다.

[나경우의 PGA레슨] 2. 스탠스의 '황금비율' 아이언 샷의 스탠스 넓이와 볼 위치.


▲ 파워를 위한 자세= 5번 아이언을 기준으로 볼 위치는 양쪽 어깨의 중심에서 한 개(2~3cm)정도 타깃 쪽이다. 몸과 볼의 거리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가장 쉽게 파악하는 방법은 양쪽 팔을 수직으로 늘어뜨렸을 때 클럽이 땅에 닿는 거리에 볼이 있는 게 이상적이다. 자세가 편안해야 마음껏 휘두를 수 있다.


[나경우의 PGA레슨] 2. 스탠스의 '황금비율' 웨지 샷의 스탠스 넓이와 볼 위치.


▲ 클럽마다 다르다= 드라이브 샷의 경우 양발을 조금 더 벌려 하체의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볼은 왼발 뒤꿈치와 일직선이 되도록 놓는다. 드라이브 샷은 임팩트 순간 클럽이 스윙 아크의 최저점을 지나 어퍼블로(상향타격)로 볼을 때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볼 위치가 양발 가운데에서 타깃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웨지 샷에서는 반면 양발을 모으고 스탠스를 약간 오픈한다. 이때 클럽 페이스 밑면은 타깃을 향하도록 해야 한다. 발을 모으는 이유는 양팔의 사용을 억제하는 동시에 몸통 회전을 도와주기 위함이다. 스탠스를 오픈하는 까닭은 임팩트 때 클럽 페이스가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나경우의 PGA레슨] 2. 스탠스의 '황금비율' 페이드를 치려면 왼발을 뒤로 뺀다.


▲ 페이드와 드로우를 치려면= 백스윙에서 유연성이 떨어진다면 스탠스를 약간 좁게 하고 왼발 끝과 같이 오른발 끝도 10~15도 열어준다. 구질이 페이드인 골퍼는 타깃 쪽으로 볼을 2~3cm, 드로우라면 반대 방향으로 2~3cm 놓으면 샷을 바로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인텐셔널 페이드 볼을 치고 싶다면 왼발을 10~15cm 뒤로 빼고, 드로우를 치려면 오른발을 뒤로 10~15cm 뺀다.


[나경우의 PGA레슨] 2. 스탠스의 '황금비율' 드로우를 치려면 오른발을 뒤로 뺀다.




▲ 지도= 나경우프로
▲ 정리=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
▲ 사진= 골프다이제스트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