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 감사직 '낙하산 인사' 고질병

[아시아경제 이현정 기자]올 초부터 시중은행 감사직에 금융감독원 출신 인사들의 이동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지난해 금감원이 감사공모제를 도입, '낙하산 인사' 관행을 뿌리 뽑겠다고 직접 나섰지만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2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오는 4월 임기만료인 정재풍 부산은행 감사 후임에 금융감독원 기획재정국장 출신의 정민주 국장이 내정돼 이동할 예정이다. 정 내정자는 금감원 감독총괄국 부국장과 거시감독국 조사연구실장, 뉴욕사무소장을 역임하는 등 주요 핵심부서장을 지낸 인물이다.

현재 시중은행 11개 곳 가운데 10곳의 감사직이 금감원 출신이다. 이처럼 금감원 출신 인사가 은행 감사 자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금감원과 은행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은행은 금감원 출신 인사를 방패 삼아 당국의 감사·감독에 대해 바람막이 역할을 기대할 수 있고 업무를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감원도 퇴직 직원의 자리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 등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특히 국민은행의 경우 타행과 달리 내부통제에 있어 막강한 실권을 쥐고 있고 연봉수준이 10억원을 훌쩍 넘는데다 등기이사로 3년간 임기가 보장돼 웬만한 국책은행장보다 낫다는 평이다. 지난 2008년 현 정용화 감사가 임명될 당시에도 상근감사 자리를 두고 금융감독당국의 전현직 간부들이 치열한 자리다툼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매년 금감원의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은행으로서는 유착관계를 끊는 것이 솔직히 쉽지 않다"며 "윈윈 전략이 통하다 보니 금감원 퇴직자들의 금융권 재취업 범위가 더 넓어지고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이현정 기자 hjlee303@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