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백화점 1층 매장, 화장품이 차지한 이유는?

현대百, 구매고객 매출 기여도 최고 … 디저트 매장 비중도 높아져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왜 모든 백화점 1층에는 화장품 매장이 가장 많이 보일까?"


3일 현대백화점이 올 1월부터 11월까지 자사 카드회원들의 구매실적을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화장품 및 조리식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의 매출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기여도는 각 상품의 절대매출이 아닌 특정 상품을 구매한 고객들만을 대상으로 백화점 전체 매출에서 해당 고객들이 일으키는 총매출의 비중을 계산한 수치다.


올 한해 현대백화점 총매출에서 화장품 구매고객의 매출기여도는 78.5%, 베이커리와 디저트, 스넥가 등 조리식품 구매고객의 매출기여도는 76.5%로 집계됐다.

반면, 화장품에 비해 절대매출 규모가 큰 명품을 구매한 고객들의 기여도는 46.4%에 그쳤다. 이는 화장품 구매고객이 명품 구매고객보다 백화점을 자주 찾고 다른 상품까지 많이 구입해 전체 매출에 기여하는 바가 높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는 경제가 불황일수록 자신을 더 꾸미려는 '립스틱 효과'와 함께 상반기에는 일본인, 하반기에는 중국인 관광객 등 외국인 특수까지 겹치면서 화장품 매출이 백화점 평균 매출 신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상위 20% 고객이 매출의 80%를 차지한다는 '파레토 법칙'에 따르면 백화점에서는 화장품 구매고객이 전형적인 상위 20% 고객이 된다. 이는 백화점의 층별 상품 구성에서 '화장품 1층 법칙'이 깨지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화장품 매장을 4회 이상 방문한 단골고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2004년과 비교해 올해 화장품 단골고객 수는 34.4%, 객단가는 12.5% 증가했고 구매주기는 3일 가량 짧아졌다.


결국 화장품이 백화점의 매출 신장률을 높여 줄 뿐 아니라 고정고객 수를 확대시키고 평균 구매금액도 키우는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 온 셈이다.


정재훈 현대백화점 화장품 바이어는 "백화점 전체 매출에서 화장품 고객의 기여도가 가장 높은 만큼 매장 또한 고객이 방문하기 가장 편한 1층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백화점에서 명품 구매고객의 매출기여도는 지난 2004년 38.6%에서 올해는 46.4%로 상승했다.


여성 고객들이 선호하는 유럽식 디저트와 테이크아웃 델리 매장 등을 강화하면서 같은 기간 조리식품 매장의 기여도도 74.2%에서 76.5%로 소폭 높아졌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