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씨 없는 감, ‘청도 반시’의 비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산림청, 청도반시 지리적 표시등록 위한 현지조사 나서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가을을 맞아 씨 없는 감, ‘청도 반시’가 인기다. 씨가 없어 먹기 좋고 맛이 뛰어나서다. 그런데 왜 ‘청도 반시’엔 씨가 없을까. 반시를 즐기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의문이다.


여기에 산림청이 해답을 내놨다.

산림청은 최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및 민간전문가와 공동으로 지리적 표시등록 심의를 위한 조사위원회를 구성, ‘청도반시’에 대한 현지조사를 벌인다고 12일 밝혔다.
?
‘청도반시’를 취급하는 사람들이 지난 4월 산림청에 지리적 표시등록 심의를 요청, 지리적 표시등록심의회 1차 심의와 심의결과에 따른 보완과정을 거쳐 현지조사를 받게 된 것.
?
구체적인 내용은 조사결과 밝혀지겠지만 ‘씨 없는 청도 감의 비밀’은 지형, 기후특성, 품종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알려졌다.
?
감의 경우 ▲꽃이 과실을 맺는 암꽃 ▲과실을 맺지 못하는 수꽃 ▲암수중간의 양성화가 있다.


청도반시는 주로 암꽃만 맺는 감나무품종으로 청도지역 안에 수꽃을 맺는 감나무(수분수)가 거의 없어 씨가 생기지 않는다.
?
더욱이 분지모양의 산간지형인 청도지역 특성상 감꽃의 개화시기인 5월에 안개가 짙어 벌의 수분활동이 어렵게 돼 씨가 생기지 않는다는 것.
?
‘청도반시’는 현지조사에서 요청된 품질관리 강화방안 등 수정?보완사항 처리를 마무리한 뒤 2차 심의를 거쳐 지리적 특성이 인정되면 최종 등록된다.
?
☞‘지리적 표시제’란?
농(임)산물 및 그 가공품의 명성, 품질,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따를 경우 당해 농(임)산물 및 그 가공품이 특정지역에서 생산된 특산품임을 나타내는 제도다.

WTO(세계무역기구), TRIPs(무역관련 지적재산권 협정)와 같은 국제적인 지리적 표시보호 강화 움직임에 보다 적극 대처하고 우리나라의 우수한 지리적 특산품을 국내 및 국제적으로 보호키 위해 추진되고 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