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녹색경영]기회 먼저 잡아라 '친환경' 생존본능

"선택아닌 필수" 선점경쟁 후끈,,,인체유해 오염물질 배제 앞장

[아시아경제 우경희 기자]#아시아의 후진국 몽골에는 최근 유럽 선진국의 기업들이 앞다퉈 몰려오고 있다. 이들이 원하는 것은 단 한가지, 몽골 국토에 태양열 발전소 등 친환경 설비를 건설하도록 허가해 주는 것이다. 해외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저감되는 친환경 설비를 건설해 주는 만큼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보장해주는 환경규제에 발빠르게 대응하게 위함이다.


#산업선진국이 몰려있는 유럽은 지난 2000년대 초 한 완구업체 관련 사건으로 떠들썩했다.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네덜란드 세관에 포착된 한 게임기는 전 유럽에서 1800억원어치가 리콜됐다. 협력업체가 공급한 전선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카드뮴이 검출됐기 때문이다. EU 전 국가의 소비자단체가 나섰으며 이 기업은 매출손실은 물론 심각한 브랜드 이미지의 타격을 입었다.

얼핏 상관없어보이는 두 가지 사례지만 이는 현재는 물론 미래를 관통하는 기업 경영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대형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선진국들은 앞다퉈 제조업의 환경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제품 판매 과정은 물론 부품 수급과 생산 과정에서도 오염물질 배제가 필수적인 요소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제품 못지않게 감성적 친환경경영도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유통 및 물류업계에서도 포장재에 친환경적 제품을 적용,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친환경 경영을 전개하고 있으며 숲 조성 등 환경관련 사업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주력 사업군을 제외하고도 태양광 사업 등 진입장벽이 크게 높지 않은 사업군을 중심으로 친환경 사업 진출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신세계는 이마트 지붕에 태양열판을 설치하면서 사업목적에 태양광 사업을 추가하기도 했다.


기업들의 친환경 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환경관련 규제가 급격히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EU는 지난 2005년 8월부터 폐전기전자제품처리지침(WEEE)을 시행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세계 주요국가가 유사한 법규를 잇따라 제정한 것은 물론이다. 국내서도 EU에 앞선 지난 2003년부터 생산자재활용책임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제조업체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유해물질사용제한지침(RoHS) 역시 지난 2006년 7월 EU가 시행을 시작해 납, 카드뮴 등 6대 유해물질의 제품 내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미국과 일본, 중국은 물론 국내서도 시행되고 있다. 신화학물질관리법(REACH)은 모든 화학물질에 대해 그 제조자와 사용자로 하여금 화학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하고 결과를 제출하도록 하는 법안이며 이를 준수하지 못할 경우 수출과 판매가 제한된다.


이 외에도 에너지사용제품에대한친환경설계의무수행지침(EuP)과 각종 전력 사용 규제 조치가 글로벌 시장 전반에서 진행되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사실상 외적 규제보다 더 무서운 것은 각 기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일 것"이라며 "친환경 경영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이제 기업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성장 동력이 된 셈"이라고 말했다.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