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학용 "은행, 계열사 펀드 몰아주기 심각"

[아시아경제 박수익 기자] 은행들의 계열 자산운용사 펀드 몰아주기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당 신학용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으로 은행계 자산운용사가 계열사를 통해 펀드를 판매한 비중은 잔액기준 79.0%, 계좌수기준 90.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은행계 자산운용사의 계열사 판매 비중보다 판매잔액은 2.5배, 계좌수는 2.9배 많은 수치이다.

적립식펀드 신규 판매에서도 비은행계 자산운용사의 경우 계열사 판매 비중이 잔액기준 27.0%(계좌수 23.0%)였으나, 은행계 자산운용사의 경우 91.9%(계좌수 88.0%)로 3배 이상 많았다.


하나UBS자산운용의 경우 하나은행과 하나대투증권에서 판매한 적립식펀드 비중이 잔액기준으로 98.3%에 달했다. KB자산운용(국민은행·KB투자증권), NH-CA자산운용(농협중앙회), 신한BNP파리바운용(신한은행·굿모닝신한증권), 기은SG자산운용(기업은행) 등 다른 은행계 운용사 역시 계열사를 통해 판매한 적립식펀드 비중이 잔액기준으로 90%를 넘었다.


또한 10개 은행(KB, 신한, 하나, 우리, 산업, 기업, 농협, 외환, 씨티, SC제일)의 펀드 판매 순위 상위 10개 상품들을 보면, 계열 자산운용사가 없는 외국계 은행(외환, 씨티, SC제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7개 은행에서 각 은행별로 최소 2개~5개의 계열 운용사 상품이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특히 하나은행의 경우 5개의 계열사 펀드 상품이 상위 판매 실적 10위 안에 포함됐다.


반면 계열사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수익률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부터 올해까지 10개 은행의 판매 실적 상위 10개 상품들은 25.0%(2007년), -25.9%(2008년), 20.0%(2009년)의 수익률을 보였으나, 계열사 상품의 수익률의 경우 각각 29.3%, -26.9%, 18.7%에 그쳤다. 주식시장이 호황이던 2007년을 제외하면 작년과 올해에는 전체 수익률에 미치지 못한 셈이다.


신학용 의원은 "결국 은행들은 다른 펀드들에 비해 수익이나 상품성이 좋은 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계열사 이익을 위해 펀드판매 물량을 몰아주고 있다"며 "이는 공정거래법상 계열사 부당지원행위에 해당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공정위 국정감사를 통해 문제를 추궁하겠다"고 말했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